[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승인 2018-07-18 11:15
  • 신문게재 2018-07-18 21면
  • 최충식 기자최충식 기자
530996090
구지가 성희롱 논란으로 유사 이래 최고(最古)의 노동요가 시비에 휘말렸다. 대전에서 나고 자란 인천의 전문계 여고 교사가 의문의 홍역을 치르고 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는 '구지가'의 거북=남근(男根·남자의 성기)이라는 설명 때문에 성희롱 시비에 딱 걸렸다. 김해 김씨와 같이 사는 필자로서는, 그 시조인 가락국 김수로왕의 강림 설화가 서려 무진장 아끼던 고대가요라 더 황당하다. '미투'의 어떤 비정상성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결론부터 적시하자면, 국보 306호인 삼국유사 목판본에 인쇄된 이 노래는 성적으로 문란하지 않다. '구워서 먹으리(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가 여성기의 은유라는 이설까지 나왔으면 정말 큰일 치를 뻔했다. '거북'이 뭔지는 수로왕, 신(神), 성적 욕망, 남성의 그것, 김해 구지봉, 주문(呪文) 등으로 견해가 구구하다. 이런 부분을 기본적으로 짚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엉터리 수업이다. 국가인권위원회나 인천시교육청 등에서 특히 눈여겨볼 점이다. 기말고사나 수능시험에 출제될 수준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이보다 훨씬 야한 고려가요 '만전춘'에서 '위위'가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신음이라는 학설을 (여자) 선생님을 통해 거부감 없이 배운 기억에 견줘보면 이건 무슨 에로스 축에도 못 낀다. 우스갯소리로, 예쁘다고 하면 성희롱, 기분 나빠도 성추행, 쳐다보면 시선 강간이라더니, 너무 나갔다. 말로 오해가 빚어지면 "내 언어의 한계가 곧 내 세계의 한계다"라고 비트겐슈타인을 빙의하는 습관이 나를 편하게 한다. 그래도 남는 불편이 있다면 이 또한 한계일 것이다.

전체 맥락이 그래서 더 중요하다. 구약성경에도 남녀상열지사가 나오고 유가 경전인 시경(詩經)은 과거의 청소년 연애 교과서였다. 이걸 맥락 쏙 빼고 음담이라고 하면 천만부당하다. 죄의식 없이 소비되는 성희롱의 성립 요건인지를 떠나, 거북 머리에 관한 학문적 소개가 성희롱이면 교과서는 성희롱 교재, 삼국유사는 성희롱 원본이 된다. 도식적인 성희롱 낙인은 교권 침해이기 전에 인권 침해다. 수업 배제 조치를 할 만큼 불온한 작품이면 차라리 교과서에서 들어내는 편이 온당할 일 아닌가. 학교나 학원에서 이 내용을 가르치지 않았다면 제대로 못 가르친 것이다.



안 그래도 성체(聖體) 훼손, 태아 훼손 등 반인류와 비문명의 극혐, 여혐, 남혐이 펄펄 끓는 폭염보다 사람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유발한 언동 등 특별한 사실관계가 있지 않았으면 학문의 범주, 수업의 영역으로 봐야 몇 번이고 옳다. 어부사시사에 '무심한 갈매기는 내 좇는가 네 좇는가'라고 풀이되는 구절이 나온다. 나의 옛 스승은 고어 기본형 '좃다'가 '그것·다'라는 식의 독특한 교수학습법으로 가르쳤다. 그분 덕에 고전의 바다에서 마음껏 유영할 수 있었다.

'성희롱' 단어조차 부재하던 그 시절, 19금·28금·33금이 섞인 판타지의 바다를 건너며 한 번도 성적 굴욕감, 혐오감은 겪지 않았다. 고대가요로 성희롱 혐의를 받는다면 현대가요의 '고래사냥'에서 고래가 권력자 상징이라거나 '미인' 중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가 성적 상상력을 유발해 금지곡에 올랐다는 전설과 크게 차이가 없다. 해석이 성적(性的)이라고 성희롱이 아니다. 아마도 서기 2세기쯤의 당대 방탄소년단(BTS)이 불렀을지 모를 '구지가'를 이제 온전히 해금시켜줄 차례다. 쾌감과 호감이 아니라도, 최소한의 열린 자세가 아쉽다.







※ <구지가(龜旨歌)> 가사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6385533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1.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