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들에 의하면 가족 혹은 친구처럼 가까운 사람과 함께 다이어트를 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는 의지를 다독일 수 있고, 선의의 경쟁으로 목표가 명확해져 다이어트 성공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이다. 또 함께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열심인 모습을 보면 시각적 자극이 돼 다이어트 동기가 유발된다.
실제 미국 펜실베니아 피츠버그 대학의 과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이어트를 함께 하는 친구가 있을 시 다이어트 프로그램 완료는 물론 4~10개월 간 체중 감량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66%)이 반대의 경우(24%)보다 약 3배 높았다. 특히 다이어트를 함께한 경우 프로그램 완료 10개월 뒤 체중 감소 폭은 혼자 다이어트를 한 사람보다 컸다.
이는 행동수정요법 중 하나다. 다이어트를 위한 행동수정요법은 운동량, 식습관, 활동량 등을 모두 다이어트를 위한 행동으로 고치는 걸 의미한다. 체중 감량을 위해 먹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 운동하는 게 아닌, 다이어트 동기에 따라 스스로 비만으로 연결되는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다.
행동수정요법의 관건은 '유지'다. 최소 6개월 이상 수정된 행동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수정 방안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함께하는 다이어트'는 '유지'를 돕는 해답이라고 할 수 있다.
비만 치료·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 관계자는 "다이어트의 핵심은 도중에 결심을 지키지 못해도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시도하는 것"이라며 "'고독한 다이어트'보다 다이어트를 지인과 함께할 경우 결심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수 있고, 스스로 비만으로 연결되는 습관을 고치는 데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