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실제 미생물이나 흙공을 지속적으로 투입할 경우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하천생태계 복원 정비작업과 수질개선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하천 주변의 오염 방지다. 오염이 최소화 돼야 하천의 생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경기 남양주시 경기동부환경운동협의회(회장 김재한)은 18일, 학생 150여명을 대상으로 왕숙천 5지점(왕숙천 2교)에서 하천 주변 오염물 제거와 함께 5지점의 수질을 측정하는 왕숙천 생태학습프로그램 순회활동을 펼쳤다.
참여 학생들과 토론 및 하천정화활동 등을 통해 왕숙천 사랑지킴이로 육성시키고 결과를 모니터링해 생태체험 내용들을 이해시키는 한편 하천사랑 및 환경보전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에서다.
현장조사지점은 조사대상 하천에서 하천의 변화가 나타나거나 끝나는 시점, 또는 심각한 오염현상이 나타나는 시점 등을 선정한다. 왕숙천의 경우 크게 5개 구간으로 나누어 지류 또는 지천이 합류하는 구간 중 5구간이 선정됐다.
이날 교육현장에서 수질측정기와 현장측정셑을 이용해 검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한 실험실 결과, 5구간 현장 수치는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5),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5), SS(부유물 6), T-N(질소용존량 0.05), T-P(인 용존량 7.7), PH(물의성질 7.8)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달 30일 조사된 BOD 3.6(보통), COD 7.3(약간 나쁨), SS 4.8(보통), T-N 7.96(매우 나쁨), T-P 0.044(약간 좋음), DO 11.0(매우 좋음), PH 7.0(매우 좋음)보다 평균 이하의 수치다.
이러한 수질의 차이는 최근 심각한 가뭄현상도 기인 하지만 무엇보다도 왕숙천 5구간은 축산물 처리장, 진건 하수처리장이 어떻게 하수를 처리해서 내려보내는가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것으로 알려져 하수처리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는 시기다.
한편, 조사된 내용들은 왕숙천 5구간에 설치된 하천생태현황 안내판에 게시해 하천을 이용하는 주민들에게 현 위치 지점하천의 종합적인 생태에 수질등급의 실태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남양주=김호영 기자 galimto2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