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귀 어둔 사람과 지부상소(持斧上疏)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귀 어둔 사람과 지부상소(持斧上疏)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8-08-2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들어서 알고 있지만, 흘려버리는 것을 우이독경牛耳讀經이라 합니다. 그 보다 더 답답한 것이 있지요. 귀는 있어, 듣고도 무슨 말인지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말귀 어둡다' 하지요. 벼슬이 높은 사람은 대부분 말귀가 밝지요. 상대방이 하는 말을 잘 알아듣습니다. '어험' 하면 다 알아서 처리합니다. 밝은 것을 지나 과잉으로 대응하면 아부라 합니다.

경제가 어렵긴 어려운가봅니다. 경제부총리와 정책실장의 상충되는 발언으로 의견이 분분합니다. 엇박자가 확연히 감지되지만, 청와대는 얼버무리고 넘어가려 합니다. 그간의 사정을 감안하면 누군가 말귀를 알아듣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대통령은 얼마 전부터 일부 비서관을 교체, 보강하고 있습니다. 정책의 잘못이 비서관에게 있을까요? 최근에는 경제관련 부처장들에게 "직을 걸고 일하라" 주문했습니다. 누구에게 한 말일까요? 좋아질 것이다, 좋아지고 있다, 좋아지는 조짐이 보인다는 둥, 기다려달라며 뭉개고 있습니다. 일 년 전에도 같은 말을 하였지요.

우선 수석비서관이 경제정책을 주도하고 있다는 말부터가 잘 못된 것 아닌가요? 비서실은 집행기관이 아닙니다. 비서실은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돕는 것이 직분이지요. 정치 전면에 나서는 자체부터 잘못된 것이라 봅니다.



지도자의 역할은 전체의 수준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대소불문, 사회에 상중하는 항상 존재하지요. 조직 구성은 일정비율로 언제나 상존합니다. 필요 없다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솎아내도 다시, 다른 사람이 일정비율 자리를 차지하지요. 퇴출시키는 것은 현대 리더십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경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잘살고 못사는 것은 항상 존재하지요. 전체의 질을 높이는 것, 그것이 리더십이요, 정책이지요.

기업에 전문경영인을 데려다 놓으면 때때로 숫자 놀음하기도 합니다. 각종 지표를 올려놓거나 외형을 키웁니다. 기업활동은 순이익을 얼마나 가져오느냐가가 중요하지, 외형이나 규모에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자금 가동률 높이면 숫자는 얼마든지 늘어나지요. 경제정책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실질소득 증가가 중요하지 일시적 지표나 외형 증가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임금 올리면 국민 총생산은 일시적으로 증가 하겠지요. 경제 전체가 무너지는데 숫자나 지표 올려서 무얼 하지요? 손에 쥐어지는 것이 없는데, 소득 오르는 게 대수인가요? 미래가 없는데 우선 배부르면 된다는 발상을 정책이라 할 수 있나요? 사탕발림은 가족에게나 하십시오. 감성자극 정책이나 교언영색(巧言令色)은 한시라도 빨리 접어야합니다.

우리 경제는 자체 순환 구조를 갖지 못하였습니다. 수출 없이 경제가 돌아가지 않지요. 물론, '소득주도 성장론'을 반기는 사람도 있지요. 그들의 논거는 1997년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어, "성장 만능주의적 고정관념과 재원 중심의 사고를 깨뜨려줄 수 있는 이론"이라는 것입니다. 묻고 싶습니다. 지구상에 우리만 존재하나요? 동시다발, 세계가 함께, 동시에 움직이는 시대입니다. 세계시장을 보아야 하지 않나요? 시장경제를 하지 않으려면 몰라도, 노동시장을 포함, 모든 가격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것임은 불문가지(不問可知)입니다.

정반합의 원리를 생각해 봅니다. 지금 펼치고 있는 경제정책은 합이 아니란 생각이죠. 증명자료도 성공사례도 없는 이론으로 국가를 실험해서야 되겠습니까? 경제학이나 경제를 모르는 천학비재한 사람의 노파심일지 모르겠습니다만, 소득주도 성장론이 그저 이론으로 남을 담론에 지나지 않는다면, 숨죽이고 있는 경제학자들은 무엇인가요? 알량한 자리보전을 위해서라면 이런 이야기는 어떨까요?

지부상소(持斧上疏)란 말이 있습니다. 자신이 하는 말이 옳지 않거나 받아들이지 않으려면 자신의 목을 치라, 도끼 들고 가 상소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목숨 걸고 세상을 바로잡으려는 정의로운 선비의 기개입니다.

고려 충선왕(忠宣王, 1275 ~ 1325, 고려 제26대 왕)이 부왕인 충렬왕(忠烈王, 1236 ~ 1308, 고려 제25대 왕)의 후궁인 숙창원비淑昌院妃 김씨를 취하자 당시 감찰규정監察糾正이던 우탁(禹倬, 1262 ~ 1342, 고려후기 문신이며 학자)이 지부상소 하였습니다. 1591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6 ~ 1598, 일본 다이코太閤)가 사신을 보내 정명가도征明假途를 강요하였습니다. 이에 조헌(趙憲, 1544 ~ 1592, 조선 문신, 의병장)선생은 왜국사신의 목을 치라며 지부상소 하였습니다. 최익현(崔益鉉, 1833 ~ 1906, 조선말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은 1876년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자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을 펼치며, 조약을 강요한 일본사신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 1840 ~ 1900, 일본 정치가)의 목을 베라고 지부상소 하였습니다. 물론, 세분 모두 지부상소만 한 것이 아니지요. 나라의 정기를 바로 세우려 수많은 일을 하였습니다. 잘못된 것을 방관하는 것도 커다란 죄악입니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전사고 일어날라… '사전투표소 대관' 고민 깊은 학교
  2. 대전교육청 급식 갈등 봉합 장기화되나… 조리원 직종 교섭 일정도 못 정해
  3. 나노종합기술원 반도체 소부장 테스트베드 역할 톡톡… 21개 품목 국산화 달성
  4. [인터뷰] "장마철 비 피해 막는 호우 긴급재난문자 큰 도움 되길"
  5.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1.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2. 폭우 내린 곳에 긴급재난문자 보낸다…충청 위험기상 조기대응 기대
  3. 구즉신협, '2025년 신협 어부바 멘토링' 발대식 개최
  4. 대전·충남 등 11개교육청 '거점형 돌봄기관'… 시 2곳·도 3곳 등 52곳
  5. 대전경찰청, 봄 행락철 음주·마약 운전 집중 단속

헤드라인 뉴스


첫 투표권 행사 앞둔 Z세대… 정당 아닌 “내 삶 바꿀 한표”

첫 투표권 행사 앞둔 Z세대… 정당 아닌 “내 삶 바꿀 한표”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생애 첫 대선 투표권을 얻은 Z세대의 정치 참여 열기가 뜨겁다. 이들은 약관임에도 12·3 계엄사태와 대통령 탄핵 등 굴곡진 헌정사를 직접 목도하며 민주주의 가치에 대해 일찍 눈을 떴다. 이 때문에 Z세대는 자기주장 표출에 주저하는 기성세대와는 다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활발히 소통하며 '민주주의 주인'으로서 정체성을 스스로 각인하는 데 인색하지 않다. 생애 첫 공직투표를 앞뒀다는 차 모 씨(19·유성구)는 요즘 저녁마다 대선 후보들의 정책 요약 영상과 뉴스 클립을 챙겨 본다. 그는 "정치..

美 연준 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카드 꺼낼까
美 연준 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카드 꺼낼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세 번째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5월 29일 예정된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 들지 주목된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 연속 동결이다. 이에 따라 한국(2.75%)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은..

"엄마 아빠 사랑해요" 아주 특별한 어버이날 편지
"엄마 아빠 사랑해요" 아주 특별한 어버이날 편지

대전하기초는 8일 어버이날을 맞아 '드론 플래시몹' 행사를 열고 부모님께 사랑과 감사의 메시지를 전하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대전하기초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전교생과 직원 400여명이 참여했다. 학생들은 학급별로 맞춘 색색의 단체 티셔츠를 입고 운동장에 질서정연하게 모여 '엄마, 아빠 사랑해요'라는 글자를 만들어냈다. 사전 연습을 거쳐 정밀하게 구성된 플래시몹은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을 통해 감동을 생생히 담아냈다. 촬영된 영상은 어버이날 오전 학부모들에게 공유됐고, 학부모들은 영상 속 운동장을 가득 메운 자녀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