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형 도시생태현황지도. |
도에 따르면, 도내 지역별 생태적 특성과 등급화한 평가 가치를 갱신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총 사업비 30억원을 투입해 2단계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단계 사업에서는 ▲야생생물 분포 현황도 ▲토지이용 현황도 ▲토지피복도 ▲생태적으로 특별히 보존가치가 있는 지역 등 시·군별 기존 정보를 갱신 중이다.
이 사업은 도시 지역의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및 갱신 사업이 법정 의무화된 2017년 11월 자연환경보전법 개정 이전부터 추진해 온 사업으로, 광역지자체 차원에서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다.
도는 지난 2006년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듬해부터 충남연구원을 통해 1단계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일괄 수행해 왔으며, 도내 지도 수시 갱신 등 지속 운영·관리하고 있다.
김찬배 기후환경국장은 "충남형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최근 국토 계획과 환경 계획을 연동코자 하는 정부의 노력에 가장 부합하는 지도 중 하나"라며 "지속적인 수정·갱신 작업을 통해 사람과 생태계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생태도시를 조성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시생태현황지도는 공간적 경계를 가진 특정 생물군집의 서식 공간을 생태 유형별로 분류하고, 생태적 보전가치 등급 등 각종 환경 생태적 특성 및 가치를 반영한 정밀 공간 생태 정보를 담고 있다.
내포=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