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의 학교폭력, 대전 경찰 신변보호 대처 도마 위에 올라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제2·3의 학교폭력, 대전 경찰 신변보호 대처 도마 위에 올라

신변보호 방식 실효성 의문

  • 승인 2019-10-28 18:03
  • 신문게재 2019-10-29 5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폭행동영상캡쳐
가해자가 촬영하고 유포한 집단폭행 동영상 일부.
학교 폭력 피해자가 경찰에 신고한 후 또다시 제2, 3의 폭행을 당하면서 경찰의 허술한 신변보호 대처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대전 중학생 집단폭행 사건' 피해자가 경찰 신고 이후 신변보호 요청을 했지만, 스마트워치를 받은 것 외에는 어떠한 신변보호도 받지 못하고 추가 폭행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28일 대전 서부경찰서에 따르면 '대전 중학생 동영상 폭행 사건'의 피해자 A(14) 군이 동영상 폭행사건 이외에 또 다른 추가 폭행을 당했다는 부모의 신고를 받았다.

'대전 중학생 집단폭행 사건'의 피해자 A 군과 부모님은 지난 15일 유성경찰서에 집단폭행 사건을 처음 신고할 때 신변보호 요청을 했다.



경찰에 신변보호 요청을 하고 받은 것은 '스마트워치' 하나. 신변보호용 스마트워치는 신고 버튼을 누르면 담당 경찰서의 수사부서로 바로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26일 발생한 A 군의 추가 폭행은 스마트워치를 잠시 빼놓은 사이에 일어났다.

지난 26일 오후에 A 군은 친한 친구 B(14) 군과 PC 방과 노래방에서 놀다가 오후 10시가 넘어 서구 도마동의 한 모텔로 들어갔다. 모텔비 3만원은 친구인 B 군이 냈다. 자정이 조금 지난 시간에 모텔 밖으로 잠시 나가 어울려 다녔던 C 군(16)을 만났고, C 군이 부른 D(14) 군까지 합세해 모텔에는 4명이 함께 들어갔다.

모텔에서 함께 있던 A 군은 손목에 찼던 스마트워치를 풀어놨다. 그렇게 놀다가 C 군과 D 군은 A 군이 입고 있던 옷을 빼앗고, A 군뿐만 아니라 함께 있던 B 군의 얼굴과 몸 등을 폭행했다는 A 군 부모의 신고가 접수됐다.

물론, 최초 발생했던 폭행 가해자는 아닌 다른 사람이 때린 것이라 보복폭행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피해 학생이 또다시 폭행을 당한 건 사실이다.

A 군은 중도일보와의 통화에서, “얼마 전에 때린 선배와 친구가 아니라 다른 선배 등이 때린 것”이라고 말했다.

폭행의 원인이 보복인지 단순 폭행인지는 경찰 조사를 기다려봐야 하지만, A 군이 경찰 신변보호 기간 중에 또다시 폭행사건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경찰의 신변보호 방식에 대한 실효성에는 문제가 없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신변보호 요청이 있으면 스마트워치를 지급하고 주거지 주변을 수시 순찰 또는 가해자와 격리된 임시 거주지를 제공하지만, 이번 사건의 경우 신변보호를 위해 어떤 조치를 했는지는 밝힐 수 없다"고 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5.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1.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2.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3.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4.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5.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