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에 뛰어들 때다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에 뛰어들 때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 승인 2019-11-08 11:07
  • 신문게재 2019-11-08 22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황순욱이미지-small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지난 9월 5일 자 필자의 칼럼에서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개발을 둘러싼 미·중·일 3국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드디어 EU도 프로세서 기술 독립을 선언하고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개발 경쟁에 가세하였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구축에 대해서 한번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라고 하면서 칼럼을 마무리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우리도 더 늦기 전에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개발할 시점이 됐다.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이 얼마나 시간이 걸리고 도전적인 일인지 중국의 경우를 한번 살펴보자. 2016년 6월 중국은 자체기술로 개발한 선웨이 프로세서를 장착한 슈퍼컴퓨터인 '선웨이 타이후라이트'로 슈퍼컴퓨터 톱 500리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980년대부터 자체 프로세스 개발을 시작했으니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기까지 30년 이상이 걸린 셈이다.



그러나 현재 오픈 프로세서 기술 생태계가 점점 성숙해짐에 따라서 훨씬 짧은 기간에도 자체 프로세서 기반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최근 유럽연합(EU)은 시장의 오픈 프로세서 칩 개발 기술을 이용하여 슈퍼컴퓨터 개발을 착수했다. 그동안 프로세서 기술의 불모지였던 EU가 유럽 브랜드 프로세서 기술 독립을 선언하는 European Processor Initiative(EPI) 프로젝트를 2018년 12월에 출범시킨 것이다. 2023년까지 EU 자체 브랜드 프로세서 기반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현재 각국은 자체 프로세서 기반 엑사급 슈퍼컴퓨터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인텔 x86 기반 프로세서와 GPU 기반 가속기를 결합한 방식으로, 중국은 오픈 프로세서 기술 또는 자체 프로세서인 선웨이 프로세서와 자체 가속기인 매트릭스 기반으로, 일본은 후지쯔에서 새롭게 개발한 ARM 기반 A64FX칩을 사용해서, EU는 ARM 기반 프로세서와 RISC-V 기반 가속기를 결합한 형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도 지금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을 시작한다면 EU처럼 x86 기반이 아닌 오픈 ISA(Instruction Set Architecture) 기반으로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특히, 우리보다 2~3년을 먼저 고민한 EU와 최근 SPARC에서 ARM으로 바꾼 일본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EU처럼 ARM 프로세서와 RISC-V와 같은 가속기의 결합 형태인지, 일본처럼 ARM 프로세서만으로 구축할 것인지, 아니면 오픈 소스인 POWER 프로세서 기반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의가 필요하다.

자체 프로세서 개발에 있어서 우리에겐 일본이나 EU에 비해 강점도 있다.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6월 삼성전자가 ARM 아키텍처 기반 엑시노스 새 심벌마크를 처음으로 공표할 정도로 모바일 분야 시스템 반도체 기술력도 꾸준히 축적된 상태이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국내 기업들이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점이다. 올해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에 총 133조 원을, SK하이닉스도 반도체 클러스터에 12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우리만의 강점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터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강국인 EU와 2030년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를 꿈꾸는 우리나라가 전략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조한다면 우리도 EU처럼 향후 5~6년 안에는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