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통적으로 명절 민심은 시대정신 반영과 공직 선거 승패를 가늠하는 주요 척도로 작용해 왔기 때문인데 설이 다가오면서 금강벨트가 뜨거워지고 있다.
충청권 설 밥상머리 민심의 단연 화두는 대전·충남 혁신도시와 국회세종의사당 80여 일 앞으로 다가온 21대 총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560만 충청인의 최대 숙원인 대전시와 충남도 혁신도시 지정문제는 전국 각지에서 가족과 친지들이 모인 가운데 펼쳐질 설 밥상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대전 충남은 인근 세종시 건설을 이유로 지난 17년간 혁신도시정책에서 제외되면서 공공기관 이전 등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해 경제적 피해를 감수해 왔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현재 국회에 대전 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발의돼 있고 산자위 전체회의와 법사위 국회 본회의 심사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대전 충남 혁신도시와 관련된 미지근한 언급을 하면서 지역민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여야 정치권 반응에 대한 평가와 대전 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2월 임시국회 균특법 통과 전망 등이 설 밥상머리 주요 안줏거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 국회의사당 설치 역시 화두다. 정부예산에 설계비 10억원이 추가로 반영되면서 속도를 높이는 듯했으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결과물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설치를 둘러싼 논쟁이 설 밥상머리에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먹고 사는 문제'도 민심과 직결된다. 일자리 부족과 경기침체에 대한 지역민의 바닥 민심을 살펴야 하는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설 밥상머리 화젯거리로 차기총선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민주당과 한국당 지지율이 엎치락뒤치락 하는 금강벨트 총선 판세와 향후 충청대망론 바통을 이어받을 가능성이 있는 여야 지역 정치인에 대한 평가도 명절 밥상에서 거론될 것으로 보인기 때문이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간의 격차가 근소한 차이를 보여 충청 정치권의 눈과 귀가 밥상머리 민심에 더욱 쏠릴 수밖에 없다. 문재인 정부 집권 초기만 하더라도 여당이 앞서나갔으나, 현재 충청권에서 두 정당 지지율은 좁혀지고 있다.
실제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13~15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06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p)한 결과 충청권에서 민주당은 41.1%, 한국당은 31.3%로 10%p 안쪽으로 좁혀지고 있다. 거대 양당 지지율이 접전으로 나타나면서 정치권이 이번 설 충청권 밥상머리에서 과연 어떤 이야기가 오갈지 더욱 눈과 귀를 모으고 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