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1인당 평균재산은 9억7,220만 원으로 전년도보다 5,801만 원 증가했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이미숙)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등록재산의 공개) 규정에 따라 정기 재산공개 대상자인 공공기관장 12명과 시·군의회 의원 446명 등 458명의 재산신고사항을 26일 경기도보에 공개했다.
신고 내역은 지난해 말 기준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의 재산 신고 내역을 살펴보면 458명의 1인당 평균재산은 9억7,220만 원이고, 이는 전년도 평균(9억1,419만 원)보다 5,801만 원 증가한 수준이다.
재산이 증가했다고 신고한 324명(71%)은 평균 1억3,298만 원이 늘었고 재산이 감소한 134명(29%)은 평균 1억7,128만 원이 줄어들었고, 주요 증가 사유로 채무 감소, 전년대비 공시지가 상승 등을 들었다.
재산총액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지난해 이어 남양주시의회 김지훈 의원으로 신고액은 112억7,717만 원이다. 지난해 대비 신고재산 증가액이 가장 큰 공직자는 안양시의회 이성우 의원으로 신고재산 증가액이 19억5,303만 원으로 나타났다.
재산총액이 가장 낮은 공직자는 수원시의회 박태원 의원으로 -6억8,105만 원이었다. 지난해에 비해 재산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공직자는 부천시의회 곽내경 의원으로 신고재산이 21억8,229만 원 감소했다.
도내 공공기관장 중에는 경기연구원 이한주 원장이 50억5천622만 원을 신고해 작년과 마찬가지로 최고 자산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보다 재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공공기관장은 6억468만 원 늘어난 경기도일자리재단 문진영 대표이사였다.
경기도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재산공개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오는 6월 말까지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아울러 재산심사결과 거짓 또는 불성실한 신고에 대해서는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고, 공직윤리에 대한 국민의 높아진 기대수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소득 대비 재산이 과다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 등에 대해 재산의 취득경위와 자금 출처, 자금 사용용도 등 재산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강화한다.
특히 직무와 관련해 부정한 재산증식 혐의가 있거나 다른 법의 위반 사실 등이 있는지 여부도 적극 심사해 해당 사실이 발견될 경우 관계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다.
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도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과 청렴한 공직문화 정착을 위해 재산등록 및 심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자 관보에 경기도지사와 부지사, 도의원과 시장·군수 등 175명을 포함한 관할 공직자의 재산등록사항을 공개했다.
경기=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