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한남대 석좌교수 |
그 사람은 매번 늦게 온 이유를 설명하지요.
그럴 때 마다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공동묘지에 가면 많은 무덤이 있는데 모두 죽은 이유들이 있더라"라고 얘기 하면서 서로 웃지요.
일을 하는데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만가지 예를 들면서 왜 일을 못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나는 못 한다'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할 수 있습니다.
모임에 지각하는 사람이나 어떤 일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모두 핑계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과거를 탓하는 사람도 많지요.
그 당시 그것이 나의 발목을 잡았다고 말하지요.
그러나 그것이 사실일수도, 사실이 아닐 수도 있는데 모두 상관이 없습니다.
과거에 그런 일이 있었다면 어쩌란 말입니까?
물론 과거에 있었던 일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지가 있다면 과거의 나쁜 영향과 단절할 수도 있고, 좋은 영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나의 '생각'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시간을 갖고 심사숙고하라, 하지만 '행동'할 시점이 오면 '생각'은 그만두고 뛰어들어라"라고 하였지요.
가톨릭 신부와 불교 승려들에게 코칭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 개리 비숍은 나폴레옹의 이 말을 받아, "사람에게는 생각을 하고 마음을 정리해야 할 때도 있지만 결국 당신은 일어나서 아는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개리 비숍, <시작의 기술> 224)
우리는 책을 왜 읽나요? 읽은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지 않는다면 책을 읽을 아무런 이유가 없는 것이지요.
당신이 원하는 삶을 위해서는 생각만이 아니라 일어나서 필요한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