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역세권 복합용도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철도 역세권 도시 공간구조는 철도역과 철도 노반 등 대규모 시설 입지로 도시공간과 단절을 초래하고 철도역 주변으로 낙후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연구원은 역세권 복합용도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사업은 기존 낙후된 도시 인프라를 정비하는 한편, 새 기능 부여가 가능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효과적인 사업을 추진을 위한 네 가지 검토사항을 제시했다.
우선 역세권 복합용도 개발은 대규모 재원 조달이 필요한 만큼 대전시가 민간사업 주체 유치를 위한 조세 감면제도, 일부 토지매입방식, 일부 시설 선분양 제도, 사전 상생협력 등 협력방안 설정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역세권 도시재생 가이드라인 수립과 단위 사업별 시행계획의 정확한 검토를 위해 심의 전 사전 타당성 검토 평가 단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대규모 프로젝트여서 토지 소유자의 직접개발보다 SPC 설립을 통한 PF 방식 등 이해 당사자 간 간접적 투자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했다.
또한 연구원은 공공성 확보를 위해 지역 활동가(도시재생 전문 코디네이터) 양성 및 지속적인 활동 독려 방안 마련과 공공시설 확충을 위한 방안 마련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세권 경제 거점화를 위한 도시재생 추진동력 확보 필요성도 제안했다. 민간투자 중심 앵커사업의 우선 유치와 복합환승센터 등 역세권 관련 국가 정책사업을 적극 활용하고, 유동인구 증대에 밀접한 공공·문화공간이 우선 확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승희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은 "철도역은 공공성을 내포함에 따라 역세권 개발은 현 정부 정책 기조와 도시재생 활성화 측면에서 다각적 접근방법이 요구된다"며 "시민의 다양한 활동 수요 반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역세권 복합용도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참여방안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대전은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제안서 평가에서 중앙공모 1곳(신탄진 프로젝트), 광역공모 3곳(가오 새텃말, 어은동 살리기, 중촌 재생) 등 4곳이 선정됐다. 국비지원 규모는 287억 8500만원이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