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대전권교통문제, 행정구역경계 없애고 통합해야 풀린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오늘과 내일]대전권교통문제, 행정구역경계 없애고 통합해야 풀린다.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장

  • 승인 2018-04-22 11:06
  • 수정 2018-04-25 08:05
  • 신문게재 2018-04-23 23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2018031701001672000076091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장
미세먼지로 인한 생활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아침에 일어날 때 미세먼지 예보를 습관처럼 확인해야 하고, 모처럼 아이들과 함께하기로 한 야외활동도 다름 아닌 미세먼지가 결정한다. 정책당국에서는 차량 2부제, 전기차 보급 등 미세먼지의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글쎄다. 미세먼지의 2가지 특성 때문이다. 미세먼지의 상당 부분은 중국이 발원지라는 사실과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미세먼지는 국경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결국, 발원지인 중국과 공동의 협력이 없는 한 근원적 해결은 요원한 것이다.

교통문제도 마찬가지다. 한 도시의 교통문제는 오롯이 그 도시의 문제가 아닌 경우가 많다. 대전시와 연접하고 있는 세종시, 청주시, 공주시 등 9개 시군의 교통문제는 곧 대전시의 문제가 된다. 특히, 최근에는 세종 시계와 대전 시계에서는 병목현상이 상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출퇴근 시간은 1시간이 넘는다.

이러한 문제의 기저에는 도시 간 교통행정의 차이가 있다. 교통은 물처럼 끊김 없이 흐르는데 행정은 구역을 경계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택시는 허가구역 외에서는 영업할 수 없다. 어떤 택시를 타면 요금을 할증해야 한다. 뿐만 아니다. 버스는 일부 광역노선을 제외하면 대부분 시경계까지만 운행한다. 불편한 환승이 발생하는 구조인 것이다.

대중교통의 불편은 승용차 이용의 빌미가 된다. 대전~세종 간 통행량의 87%가 승용차이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세종시 혹은 대전시에서 발생 된 승용차통행량은 고스란히 인접 도시의 교통혼잡과 주차문제 등 2차 문제로 나타난다.



대도시권 교통운영에 대하여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전광역권의 인구수가 300만 명을 넘어섰고 이들은 하루 720만 통행을 발생시킨다. 외국의 웬만한 대도시권을 넘어서는 수치다. 시계를 넘어 출퇴근하는 사람도 많다. 대전시민의 10.2%가 매일 시계를 넘어 출근하고, 세종시에서 대전으로 출근하는 인구만도 12%이다(2015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_20% 표본조사).

대안은 2가지 방향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역교통청'을 조기에 설치하여 무기력한 '광역교통협의회'를 대체하는 것이다. 당초 '수도권 광역교통청'으로 추진되었는데, 최근에는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으로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 대전권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신설기구의 기능과 운영방향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하나는 대전도시철도공사, 대전시내버스업체, 마을버스, 세종교통(주), 세종도시교통공사 등 철저하게 구분된 운영주체를 통합하거나 규모화하는 것이다. 하나의 생활권에 여러 개의 운영주체가 있다는 것은 비효율과 이용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외국의 대도시권에서는 일찍부터 위의 2가지를 하나의 기구에서 해결하고 있다. 미국의 MPO, 프랑스 파리광역권의 STiF, 리옹대도시권의 SYTRAL, 영국 런던대도시권의 TfL 등이 대표적이다.

2가지를 하나의 기구로 통합하든 광역교통청과는 별개로 운영하든 방법론에 있어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교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시경계를 구분하지도, 교통수단운영자를 구분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이다. 대전권에서도 하루빨리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2. 충남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착공 지연… 교육부 공모사업 난항
  3. 충남교육청 학교복합시설 '부여 반다비 국민체육센터' 건립 속도
  4.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정치적 다원주의와 지방자치
  5. "소리 대신 마음을 적다, 글씨로 세상과 잇다"
  1. 충남도, 상하이서 산학연 협력 구심점 마련… 디지털·친환경 전환 협력 가속
  2. [문예공론] 마음 닦고 입 닫고
  3. 대전 문창동서 50대 보행자 도로횡단 중 교통사고 사망
  4. 충남도, 늘어나는 빈집 해결 위해 다각도 노력
  5. 씨엔씨티에너지-한솔제지, 에너지 효율 혁신 손잡아

헤드라인 뉴스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국민의힘 새 당 대표로 충청 재선 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이 26일 선출되면서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연내 통과 등 충청 현안 탄력이 기대된다. 장 의원의 전당대회 승리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를 여야 당대표 충청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장 신임 대표는 국회 도서관에서 속개된 제6차 전당대회 당 대표 결선투표에서 22만301표를 얻어 21만 7935표를 얻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2366표 차로 신승했다. 이로써 장 대표는 앞으로 2년간 국민의힘 당권을 쥐게 됐다. 충청권으로선 현안 관철의 호기를 맞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속보>=지난 3월 세종시 풋살장 골대 전복으로 인한 초등생 사망 사고와 관련, 시청 소속 공무원 2명이 형사 입건 돼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도일보 3월 14·15·24일 연속 보도> 26일 세종시와 경찰에 따르면 지난 3월 13일 세종시 고운동 소재 근린공원 공공 풋살장에서 초등학생 A 군(11)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세종시 시설관리사업소 팀장, 책임자 등 모두 2명이 지난 5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으며, 같은 달 대전지방검찰청으로 송치됐다. 현재 검찰의 수사 보완 요청에 따라 경찰이 추가..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가을 분양 성수기를 맞아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에 3858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는 3만 9000여 세대가 분양에 나서면서 주택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전국 분양 아파트는 53개 단지, 총 3만 8979세대다. 지역별 공급을 보면 수도권 28개 단지(2만 5276세대)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으며, 지방은 25곳 1만3703세대가 공급에 나설 전망이다. 충청권에선 충남 2043세대, 충북 1042세대, 대전 773세대 등 3858세대가 분양에 나선다. 충남에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