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승인 2018-07-18 11:15
  • 신문게재 2018-07-18 21면
  • 최충식 기자최충식 기자
530996090
구지가 성희롱 논란으로 유사 이래 최고(最古)의 노동요가 시비에 휘말렸다. 대전에서 나고 자란 인천의 전문계 여고 교사가 의문의 홍역을 치르고 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는 '구지가'의 거북=남근(男根·남자의 성기)이라는 설명 때문에 성희롱 시비에 딱 걸렸다. 김해 김씨와 같이 사는 필자로서는, 그 시조인 가락국 김수로왕의 강림 설화가 서려 무진장 아끼던 고대가요라 더 황당하다. '미투'의 어떤 비정상성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결론부터 적시하자면, 국보 306호인 삼국유사 목판본에 인쇄된 이 노래는 성적으로 문란하지 않다. '구워서 먹으리(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가 여성기의 은유라는 이설까지 나왔으면 정말 큰일 치를 뻔했다. '거북'이 뭔지는 수로왕, 신(神), 성적 욕망, 남성의 그것, 김해 구지봉, 주문(呪文) 등으로 견해가 구구하다. 이런 부분을 기본적으로 짚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엉터리 수업이다. 국가인권위원회나 인천시교육청 등에서 특히 눈여겨볼 점이다. 기말고사나 수능시험에 출제될 수준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이보다 훨씬 야한 고려가요 '만전춘'에서 '위위'가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신음이라는 학설을 (여자) 선생님을 통해 거부감 없이 배운 기억에 견줘보면 이건 무슨 에로스 축에도 못 낀다. 우스갯소리로, 예쁘다고 하면 성희롱, 기분 나빠도 성추행, 쳐다보면 시선 강간이라더니, 너무 나갔다. 말로 오해가 빚어지면 "내 언어의 한계가 곧 내 세계의 한계다"라고 비트겐슈타인을 빙의하는 습관이 나를 편하게 한다. 그래도 남는 불편이 있다면 이 또한 한계일 것이다.

전체 맥락이 그래서 더 중요하다. 구약성경에도 남녀상열지사가 나오고 유가 경전인 시경(詩經)은 과거의 청소년 연애 교과서였다. 이걸 맥락 쏙 빼고 음담이라고 하면 천만부당하다. 죄의식 없이 소비되는 성희롱의 성립 요건인지를 떠나, 거북 머리에 관한 학문적 소개가 성희롱이면 교과서는 성희롱 교재, 삼국유사는 성희롱 원본이 된다. 도식적인 성희롱 낙인은 교권 침해이기 전에 인권 침해다. 수업 배제 조치를 할 만큼 불온한 작품이면 차라리 교과서에서 들어내는 편이 온당할 일 아닌가. 학교나 학원에서 이 내용을 가르치지 않았다면 제대로 못 가르친 것이다.



안 그래도 성체(聖體) 훼손, 태아 훼손 등 반인류와 비문명의 극혐, 여혐, 남혐이 펄펄 끓는 폭염보다 사람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유발한 언동 등 특별한 사실관계가 있지 않았으면 학문의 범주, 수업의 영역으로 봐야 몇 번이고 옳다. 어부사시사에 '무심한 갈매기는 내 좇는가 네 좇는가'라고 풀이되는 구절이 나온다. 나의 옛 스승은 고어 기본형 '좃다'가 '그것·다'라는 식의 독특한 교수학습법으로 가르쳤다. 그분 덕에 고전의 바다에서 마음껏 유영할 수 있었다.

'성희롱' 단어조차 부재하던 그 시절, 19금·28금·33금이 섞인 판타지의 바다를 건너며 한 번도 성적 굴욕감, 혐오감은 겪지 않았다. 고대가요로 성희롱 혐의를 받는다면 현대가요의 '고래사냥'에서 고래가 권력자 상징이라거나 '미인' 중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가 성적 상상력을 유발해 금지곡에 올랐다는 전설과 크게 차이가 없다. 해석이 성적(性的)이라고 성희롱이 아니다. 아마도 서기 2세기쯤의 당대 방탄소년단(BTS)이 불렀을지 모를 '구지가'를 이제 온전히 해금시켜줄 차례다. 쾌감과 호감이 아니라도, 최소한의 열린 자세가 아쉽다.







※ <구지가(龜旨歌)> 가사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6385533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10중 추돌사고… 16명 사상
  2.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3.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4.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5.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1.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2.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3. [대입+] 2026 수능도 ‘미적분·언어와 매체’ 유리… 5년째 선택과목 유불리 여전
  4.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돌입…한화볼파크 계약 행정 실효성 부족 도마 위
  5.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헤드라인 뉴스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에 녹조가 사라지지 않고 추동 수역에서는 11월 현재 오히려 한여름 수준의 '경계'단계가 유지 중으로, 지난 10년간 녹조 발생이 갈수록 악화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체에 가깝게 오랫동안 정체하는 대청호가 다른 상수원보다 수온상승과 가을 폭우 등의 기상이변에 더욱 취약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11월 7일 금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는 대청호 문의수역에서 이뤄지는 녹조 제거 활동을 공개하고 녹조발생 저감에 지역사회 협조를 요청했다. 이곳 문의수역은 7월 31일 조류경보제 중 관심 단계가 처음 발령됐고, 8월 7일 회남수역까..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이장우 대전시장은 10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한화 불꽃축제 개최의 안전대책과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 예산 효율화 등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시 한화 불꽃축제 개최와 관련해 "축제 방문자 예측을 보다 넉넉히 잡아 대비해야 한다"며 "예측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몰리면 안전과 교통에 있어 대책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화구단은 30일 한화이글스 창단 40주년과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념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및 엑스포다리 일원에서 불꽃축제를 개최한다. 불꽃놀이와 드론쇼 등 대규모 불꽃 향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 시장은..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8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주최한 2025년 제9회 대전 유학생 한마음 대회를 방문했다. 대전 서구 KT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도착했을 때 우리가 마주한 건 엄청난 활기였다. 제기차기, 딱지치기, 투호 등의 한국 전통 놀이를 850명 가까운 유학생들이 모여 열중하고 있었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환호와 아쉬움의 탄성, 그리고 땀과 흥분으로 데워진 공기에 늦가을의 추위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후끈 달아오른 공기는 식을 틈이 없었다. 이어진 단체 경기, 그중에서도 장애물 이어달리기는 말 그대로 국제 올림픽의 현장이었다. 호루라기가 울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