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구지가 성희롱 논란

  • 승인 2018-07-18 11:15
  • 신문게재 2018-07-18 21면
  • 최충식 기자최충식 기자
530996090
구지가 성희롱 논란으로 유사 이래 최고(最古)의 노동요가 시비에 휘말렸다. 대전에서 나고 자란 인천의 전문계 여고 교사가 의문의 홍역을 치르고 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는 '구지가'의 거북=남근(男根·남자의 성기)이라는 설명 때문에 성희롱 시비에 딱 걸렸다. 김해 김씨와 같이 사는 필자로서는, 그 시조인 가락국 김수로왕의 강림 설화가 서려 무진장 아끼던 고대가요라 더 황당하다. '미투'의 어떤 비정상성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결론부터 적시하자면, 국보 306호인 삼국유사 목판본에 인쇄된 이 노래는 성적으로 문란하지 않다. '구워서 먹으리(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가 여성기의 은유라는 이설까지 나왔으면 정말 큰일 치를 뻔했다. '거북'이 뭔지는 수로왕, 신(神), 성적 욕망, 남성의 그것, 김해 구지봉, 주문(呪文) 등으로 견해가 구구하다. 이런 부분을 기본적으로 짚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엉터리 수업이다. 국가인권위원회나 인천시교육청 등에서 특히 눈여겨볼 점이다. 기말고사나 수능시험에 출제될 수준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이보다 훨씬 야한 고려가요 '만전춘'에서 '위위'가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신음이라는 학설을 (여자) 선생님을 통해 거부감 없이 배운 기억에 견줘보면 이건 무슨 에로스 축에도 못 낀다. 우스갯소리로, 예쁘다고 하면 성희롱, 기분 나빠도 성추행, 쳐다보면 시선 강간이라더니, 너무 나갔다. 말로 오해가 빚어지면 "내 언어의 한계가 곧 내 세계의 한계다"라고 비트겐슈타인을 빙의하는 습관이 나를 편하게 한다. 그래도 남는 불편이 있다면 이 또한 한계일 것이다.

전체 맥락이 그래서 더 중요하다. 구약성경에도 남녀상열지사가 나오고 유가 경전인 시경(詩經)은 과거의 청소년 연애 교과서였다. 이걸 맥락 쏙 빼고 음담이라고 하면 천만부당하다. 죄의식 없이 소비되는 성희롱의 성립 요건인지를 떠나, 거북 머리에 관한 학문적 소개가 성희롱이면 교과서는 성희롱 교재, 삼국유사는 성희롱 원본이 된다. 도식적인 성희롱 낙인은 교권 침해이기 전에 인권 침해다. 수업 배제 조치를 할 만큼 불온한 작품이면 차라리 교과서에서 들어내는 편이 온당할 일 아닌가. 학교나 학원에서 이 내용을 가르치지 않았다면 제대로 못 가르친 것이다.



안 그래도 성체(聖體) 훼손, 태아 훼손 등 반인류와 비문명의 극혐, 여혐, 남혐이 펄펄 끓는 폭염보다 사람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유발한 언동 등 특별한 사실관계가 있지 않았으면 학문의 범주, 수업의 영역으로 봐야 몇 번이고 옳다. 어부사시사에 '무심한 갈매기는 내 좇는가 네 좇는가'라고 풀이되는 구절이 나온다. 나의 옛 스승은 고어 기본형 '좃다'가 '그것·다'라는 식의 독특한 교수학습법으로 가르쳤다. 그분 덕에 고전의 바다에서 마음껏 유영할 수 있었다.

'성희롱' 단어조차 부재하던 그 시절, 19금·28금·33금이 섞인 판타지의 바다를 건너며 한 번도 성적 굴욕감, 혐오감은 겪지 않았다. 고대가요로 성희롱 혐의를 받는다면 현대가요의 '고래사냥'에서 고래가 권력자 상징이라거나 '미인' 중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가 성적 상상력을 유발해 금지곡에 올랐다는 전설과 크게 차이가 없다. 해석이 성적(性的)이라고 성희롱이 아니다. 아마도 서기 2세기쯤의 당대 방탄소년단(BTS)이 불렀을지 모를 '구지가'를 이제 온전히 해금시켜줄 차례다. 쾌감과 호감이 아니라도, 최소한의 열린 자세가 아쉽다.







※ <구지가(龜旨歌)> 가사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6385533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3.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4.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5.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