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2일 23시경 괴정동 원룸촌 밝기 차이를 보이는 교체된 LED 보안등(좌)과 기존 보안등(우). |
기존에 사용되는 나트륨등 밝기가 어둡다 보니 여성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동네마다 편차가 있어 불만이 나온다.
23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는 나트륨등에서 LED 보안등으로 교체된 곳은 자치구마다 편차가 존재했다.
가장 열악한 곳은 서구 괴정동이다. 괴정동은 489개 중 23개가 교체돼 교체비율이 5%가 채 안됐다. 이에 반해 서구 정림동은 345개 전부 LED 보안등으로 바뀌면서 양극화를 보였다. 이어 중구 대흥동은 372개 중 218개, 유성구 궁동은 183개 중 173개 등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LED 보안등 평균 조도는 30 Lux이며, 기존 나트륨등은 평균 15 Lux다. LED 보안등이 기존 나트륨등보다 2배 이상 밝다.
지역민들은 자치구마다 편차가 존재해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를 내뱉는다.
서구 괴정동에 거주하는 20대 대학생 김모 씨(21)는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가 끊임없이 뉴스에 나오면서 불안한데, 아직도 등이 어두워 밤에 지나다니기가 무섭다"고 말했다.
직장인 최모(29) 씨도 "어디는 밝고, 어디는 어두우니까 어두운 쪽은 더 어둡게 느껴진다"며 "아무래도 더 어두운 길을 지날 때면 더 긴장하게 되고 더 무섭고, 더 밝은 보안등 설치를 서둘러 해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지자체들은 예산이 한정돼 하루빨리 바꿀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구청 담당자는 "대전시 지원을 받고 구비를 포함해 1년에 2억 50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되는데, 1년에 100개를 설치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전이 다른 지역보다 어두운 탓에 교체 사업이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형복 대전세종연구원 도시안전센터장은 "대전이 가로등이 타 지역보다 조금 더 어두운 건 사실"이라며 "기존 나트륨등을 LED 가로등과 보안등으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안전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옳고, 가정집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않게 가로등 커버로 디자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이현제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