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오전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현장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문 대통령은 오는 26일까지 3박 5일간 머물며 일정을 소화한다. 한미정상회담은 방미 이틀째인 23일(현지시간) 열릴 예정이다. 이번 회담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진전 여부다.
앞서 최종건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을 협의한다"며 "한미동맹과 연내 현안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 남북협력사업 재개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결정에 따른 한·미·일 삼각 안보축 우려 불식 등을 위한 논의도 벌일 전망이다. 방미 기간 중 한일정상회담은 어려워 보인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선 국제사회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도 호소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 외에도 폴란드, 덴마크, 호주 3개국 정상과의 회담도 예정돼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도 면담하며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주최하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참석, 한국이 내년 주최하는 2차 P4G(녹색성장·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 계획을 발표한다.
기조연설 뒤 문 대통령은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접견해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긴밀해진 한국과 IOC의 협력 관계를 확인하고, 내년 도쿄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과 개막식 공동입장을 논의한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요청으로 마하트마 간디 탄생 150주년 기념 고위급행사에도 참석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한반도 문제 지원이 절실하다"며 "중견국과의 공조 강화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