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한남대 석좌교수 |
진은 자신에 대한 성찰이고, 선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도덕적 삶의 모색입니다.
그리고 미는 아름다운 삶과 멋지게 죽는 죽음을 말하지만, 과연 죽음이 멋지거나 아름다울 수 있을까요?
죽음은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죽음은 삶의 한 부분이 될 수 있겠지요.
고통도 바로 인간다운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누구도 죽음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습니다.
죽음을 경험하는 순간 우리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니까요.
누구나 '사람은 꼭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자신은 빼 놓고 생각하지요.
그래서 인도 고대 서사시는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일은 사람이 주변에서 죽어 가는 것을 보면서도 자신은 죽지 않으리라고 믿는 것이다"라고 했겠지요.
톨스토이는 "오늘 밤까지 살아라, 동시에 영원히 살아라"라는 말을 했는데, 오늘 밤까지 살라는 것은 결국 죽음을 기억하라는 것이고, 영원히 살라는 말은 삶의 시간성이라기보다는 충만하고 풍요로운 시간을 상정한 것이겠지요.
따라서 인문학이 죽음에 대해 주는 메시지는 죽음을 기억하면 현재가 더욱 풍요로워지고, 순간순간이 삶의 소중한 선물이라는 깨달음일 것입니다. 한남대 석좌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