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종교시설과 실내체육시설, 유흥시설을 비롯해 피시방, 노래방, 학원 등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추가 업종에 대한 운영 제한 조치가 오는 19일까지 연장된다.
운영이 불가피하면 시설 내 1∼2m 거리 두기, 마스크 착용하기, 유증상자 즉시 퇴근하기, 1일 최소 2회 소독 및 환기하기 등 방역 당국이 정한 방역 준수사항을 따라야 한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2주간에 걸친 실천 기간 동안 감염 확산을 차단하는 효과가 분명히 확인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번 연장 조치를 통해 신규 확진자 수를 하루 평균 50명 내외까지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제2차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제1차 사회적 거리 두기의 방역수칙은 지속하면서 요양병원, 정신병원, 교회 등 고위험 시설을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해외 입국자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대본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와 관련해 "방역과 의료전문가 의견과 지역사회 의견도 다르지 않다"며 "앞으로 일정 기간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어 "사회적 거리 두기를 계속하는 것이 막대한 희생과 비용을 수반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절대 긴장을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여기서 느슨해지면 그동안의 노력이 사라질 수 있다"고 말하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 기간 연장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감염 후에 치료하는 것보다는 예방이 낫고, 감당할 수 없는 혼란보다는 인내하고 비용을 감수하는 것이 나은 선택"이라며 "힘들더라도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에 계속 동참해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세종= 이승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