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만으로 어렵다는 경험은 차고 넘치도록 축적돼 있다.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 이미 겪었다. 국내 업체들이 개발에 나섰다가 줄줄이 포기한 선례가 그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선 국내 20곳 안팎이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전 세계가 인정하는 진단키트에 치료약까지 가미되면 한국 바이오의 위상도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 몫으로 만들기에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모자란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서 꼽히는 장벽은 규제다. 혈장치료제를 예로 들면 완치자 혈액 확보가 필수 전제다. 그런데 부적격 혈액만 연구용으로 허용되는 현행법이 앞을 막는다. 진단키트 사례처럼 기업 도전정신 외에 걸림돌을 치워주는 정부의 과단성이 아쉽다. 여러 후보물질의 유효성 임상시험에는 특히 소요 비용이 막대하다. 임상 절차를 단축하지 못하면 올해 안에 치료제를 못 만나고 자료 독점권을 뺏길 수 있다.
먼저 개발하지 못하면 고액의 수입 의약품과 수급난으로 비싼 대가를 치를 것이다. 그 반대가 돼야 한다. 이를 위해 필수 의약품 개발부터 임상시험 각 단계별 지원으로 사실상 국가가 책임지는 공공 인프라가 절실하다. 공적 조직에서 책임지고 임상을 진행하는 방법 역시 좋은 대안이다. 원격 의료, 유전자치료제 규제도 이 기회에 풀어 비용과 시간을 단축해야 한다. 코로나19 퇴치는 물론, 감염병 치료제와 백신을 둘러싼 국가 간 패권 다툼에서도 K-바이오가 승자가 돼야 하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