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과 일기 등이 등록문화재 지정은 곧 역사성을 더 제대로 공인받는 일이다. 데모사항 조사서, 부상자 실태 조사서와 연행자 조사서, 목격자와 주민 조사서 등은 주로 서울과 대구·부산·마산 등에 편중돼 있다. 정치적 지향과 심경이 나타난 조사서에서는 한국전쟁이 끝난 지 불과 7년이 된 시점의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이 곧이곧대로 읽힌다. 국가의 법적 보호와 관리를 받아야 하는 유물임은 두말할 것 없다. 4·19혁명에 걸맞은 정당한 역사적 대접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더 많은 기록물을 발굴해야 한다. 5·18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된 뒤 진상규명 움직임이 전보다 활발하게 일고 있다. 기록물은 연구 기초자료일 뿐 아니라 역사인식과 직결되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4·19 기폭제가 된 대전 3·8민주의거와 대구 2·28민주화운동, 마산 3·15의거가 같이 조명돼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관련 기록도 연세대 조사서와 나란히 등록하는 것이 합당하다.
국가기념일 지정으로 4·19혁명의 평가가 끝난 건 아니다. 지역별로도 대전에서 '3·8민주로' 명예도로명 부여 등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 여러모로 미완성이다. 등록 이후에도 기록물을 집중 조명해 소실하지 않고 미래세대까지 영구히 기억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가 된 4·19의 거국적 기록이 방대하지 않을 수 없다. 등록문화재 다음 순서로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본격 추진이 또 남아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