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에 위치한 중앙공원 장남평야 모습. |
세종환경운동연합은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인류공동체는 이제 무엇을 할 것인지 선언하고 행동에 나설 시간"이라며 환경문제 재인식을 촉구했다.
세종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구와 인류는 총체적 위기에 놓여있고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을 정도로 기후 위기와 환경 위기가 심각하다"라며 "기후재난의 피해는 세계경제공황보다도 더 크다"라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 국회, 기업, 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녹색으로의 대전환을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종환경운동연합은 "첨단을 쫓고 명품을 좇으며 스마트 도시를 쫓은들 미세먼지로 뒤덮이고 콘크리트 정글 속에서 회색 도시이면 무슨 소용이겠는가"라며 "세종은 금강의 문화, 유구한 백제 문화 그리고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의 시민이 주도하는 문화가 꽃피는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천과제 제안을 통해 "세종의 보물인 합강습지와 장남평야 그리고 금강 하중도와 습지들을 람사르 습지에 등록하는 일을 추진하자"라고 주장했다.
또 "세종에서 먼저 금강을 재자연화해 시민들이 강에서 쉬고 만끽하는 시민들의 강, 생명의 강으로 만들자"라며 생태문화의 수도를 제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 ‘공해추방운동청년협의회’가 1988년 통합하여 출범한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을 직접적인 뿌리로 합니다. 공추련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높아진 시민들의 사회참여 기운에 힘입어 대중적인 환경운동을 벌였다.
공추련의 창립 직후 부산, 광주, 목포 등 전국에서 회사원, 주부, 학생, 전문가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환경단체들이 하나, 둘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를 계기로 한층 시야가 깊어지고 넓어진 한국의 환경운동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게 됩니다. 피해자 중심의 반공해운동에서 시민으로 폭을 넓힌 환경운동으로 발전하며, 지역에 국한된 활동에서 전국적 연대 나아가 지구환경 보전을 추구하기 위한 연합체를 결성하게 됐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