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늘어난 불투수(不透水) 지역을 줄이는 작업도 계속해야 한다. 도심 피해를 키운 지역 중 빗물이 흡수되지 못하는 지역 비율은 서울은 52.8%, 부산은 26%에 이른다. 서구 지역 아파트가 침수된 대전도 불투수 면적이 23%로 국내 네 번째다. 시간당 100㎜가 넘는 기록적 폭우를 당할 수 없는 구조다. 전국에 배수와 차단시설이 다급한 침수 위험 지하차도는 140곳이 넘는다. 하천 위주 치수 정책을 도시 안으로 끌어들여야 할 이유는 이보다 많다.
도심을 흐르는 국가하천도 그 하나다. 100년, 200년 빈도에 맞췄는데 적은 비에도 수위가 급상승한 사례가 적지 않다. 국지적 기습 폭우로 인한 홍수는 본류보다 지류와 도심 하천에서 잦다. 그런데 정작 정비사업의 우선순위는 거꾸로다. 치수적인 물 순환 능력이 부족한 복개하천도 놔둘 수 없다. 예를 들자면 광주천이 지나는 양동복개상가도 대전천 홍명상가 방식의 정비가 절실하다. 저지대 경우는 소규모 가구 이주를 포함한 적극적인 정책까지 시도할 상황이다.
당장 11일까지 중부지방과 서해 5도에 100~300㎜ 이상 강수가 예보돼 있다. 정치권은 '원피스' 논쟁이나 하지 말고 수해 예방과 사후 복구, 구호 및 지원에 초당적 협력을 다해야 한다. 특히 지역의 절개지와 약한 지반 보강, 배수시설 확충이나 빗물저류시설 설치는 늘 후순위로 밀린다. 지방정부에 대한 정부 지원이 아쉬운 부분이다. 제어하기 힘든 폭우 양상에 맞게 근본부터 다른 대책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