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역대 가장 긴 장마 눈앞...피해 복구 더뎌

  • 정치/행정
  • 대전

[집중호우]역대 가장 긴 장마 눈앞...피해 복구 더뎌

48일째 장마... 2013년 갱신 눈앞.. 강수량은 두배
65%응급복구율... 태풍 장미는 별다른 영향 없어
서천은 부유 쓰레기에 몸살 앓아

  • 승인 2020-08-10 16:48
  • 수정 2020-08-10 17:55
  • 신문게재 2020-08-11 1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PYH2020081006190005400_P4
연합뉴스DB
2020년은 중부지방 장마가 역대 가장 긴 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태풍 '장미'가 다행히 별다른 피해 없이 지나갔지만, 응급복구율은 65% 수준에 머물면서 더디게 진행됐다.

10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역대 가장 늦게 끝나는 해가 됐다. 앞서 장마가 가장 늦게 끝난 해는 1987년 8월 10일이었다. 33년 만에 가장 늦은 장마로 '공동 1위'에 올랐다. 또한, 올해 장마는 중부지방 기준으로 지난 6월 24일 시작해 이날까지 48일째 이어지고 있다. 제5회 태풍 장마가 이날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등 8월 중순까지 장마가 지속될 예정이어서 최장 타이틀 갱신을 앞두고 있다. 중부지방에서 장마 기간이 가장 길었던 해는 2013년 기록한 49일이다.

지난 6월 24일부터 8월 9일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지난 2013년 최장 장마 기간(49일) 전국 평균 강수량 406.5㎜의 2배인 약 750㎜가 내렸다.

기나긴 장마와 폭우로 인해 도로 유실 및 주택 손실 등 시설 피해는 물론 사망자와 이재민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들어 계속된 집중 호우로 10일 오전 10시 30분까지 누적 집계된 전국 사망자는 31명이다. 실종자도 11명이며, 부상자는 8명이다. 주택 등 사유지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 우려 등으로 발생한 이재민은 4023가구 총 6946명이다. 이 중 1929가구, 3425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발생한 시설 피해는 총 1만7879건(공공시설 7801건·사유시설 1만78건)으로 집계됐다. 피해 농경지 면적은 2만5113㏊에 달한다.



응급복구율은 65% 수준에 머물러 있다. 충북선·태백선·영동선·경전선·장항선 등 5개 노선에서 열차 운행이 전면 또는 일부 중단되는 등 도로와 철도 등 교통 통제 상황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날 제5호 태풍 '장미'가 한반도를 지나가면서 큰 피해가 우려됐지만, 태풍 세력이 약한 탓에 다행히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용담댐이 수문 5개를 모두 개방하면서 지난 8일 밤 충북 옥천·영동과 충남 금산 등에 물난리가 났다. 영동에서 135㏊의 농경지와 55채의 주택이 침수됐고, 옥천도 46.4㏊의 농경지와 11채의 주택이 물에 잠겼다. 그러나 댐 방류로 인한 피해는 현행법상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조수, 대설 등 풍수해에 포함되지 않아 복구비 지원이 힘들다. 수해 지역에서는 수자원공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손해를 배상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충남 서천군 주요 해변은 긴 장마로 금강 상류에서 떠내려온 부유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10일 서천군에 따르면 인력 300여 명과 굴착기 등 중장비 33대를 투입해 서면 월호리와 도둔리, 마량리 해변 등으로 떠밀려온 400여t의 부유 쓰레기를 처리했다. 서천 해안가에는 최근 10여 일간 대전, 세종, 청주 등 금강 상류 지역에서 나뭇가지, 캔, 페트병, 스티로폼, 폐타이어 등 떠밀려 온 쓰레기량이 800여t에 이른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1.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