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DB |
10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역대 가장 늦게 끝나는 해가 됐다. 앞서 장마가 가장 늦게 끝난 해는 1987년 8월 10일이었다. 33년 만에 가장 늦은 장마로 '공동 1위'에 올랐다. 또한, 올해 장마는 중부지방 기준으로 지난 6월 24일 시작해 이날까지 48일째 이어지고 있다. 제5회 태풍 장마가 이날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등 8월 중순까지 장마가 지속될 예정이어서 최장 타이틀 갱신을 앞두고 있다. 중부지방에서 장마 기간이 가장 길었던 해는 2013년 기록한 49일이다.
지난 6월 24일부터 8월 9일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지난 2013년 최장 장마 기간(49일) 전국 평균 강수량 406.5㎜의 2배인 약 750㎜가 내렸다.
기나긴 장마와 폭우로 인해 도로 유실 및 주택 손실 등 시설 피해는 물론 사망자와 이재민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들어 계속된 집중 호우로 10일 오전 10시 30분까지 누적 집계된 전국 사망자는 31명이다. 실종자도 11명이며, 부상자는 8명이다. 주택 등 사유지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 우려 등으로 발생한 이재민은 4023가구 총 6946명이다. 이 중 1929가구, 3425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발생한 시설 피해는 총 1만7879건(공공시설 7801건·사유시설 1만78건)으로 집계됐다. 피해 농경지 면적은 2만5113㏊에 달한다.
응급복구율은 65% 수준에 머물러 있다. 충북선·태백선·영동선·경전선·장항선 등 5개 노선에서 열차 운행이 전면 또는 일부 중단되는 등 도로와 철도 등 교통 통제 상황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날 제5호 태풍 '장미'가 한반도를 지나가면서 큰 피해가 우려됐지만, 태풍 세력이 약한 탓에 다행히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용담댐이 수문 5개를 모두 개방하면서 지난 8일 밤 충북 옥천·영동과 충남 금산 등에 물난리가 났다. 영동에서 135㏊의 농경지와 55채의 주택이 침수됐고, 옥천도 46.4㏊의 농경지와 11채의 주택이 물에 잠겼다. 그러나 댐 방류로 인한 피해는 현행법상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조수, 대설 등 풍수해에 포함되지 않아 복구비 지원이 힘들다. 수해 지역에서는 수자원공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손해를 배상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충남 서천군 주요 해변은 긴 장마로 금강 상류에서 떠내려온 부유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10일 서천군에 따르면 인력 300여 명과 굴착기 등 중장비 33대를 투입해 서면 월호리와 도둔리, 마량리 해변 등으로 떠밀려온 400여t의 부유 쓰레기를 처리했다. 서천 해안가에는 최근 10여 일간 대전, 세종, 청주 등 금강 상류 지역에서 나뭇가지, 캔, 페트병, 스티로폼, 폐타이어 등 떠밀려 온 쓰레기량이 800여t에 이른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