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어이 상실과 간쟁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어이 상실과 간쟁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08-14 09:13
  • 수정 2020-08-14 09:14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언은 귀에 거슬린다.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실에 이롭다. 걸왕과 주왕은 무조건 따르는 신하들이 있었기 때문에 멸망했다. 임금에게 간쟁하는 신하가 없고, 아버지에게 간쟁하는 아들이 없고, 형에게 간쟁하는 동생이 없고, 선비에게 간쟁하는 친구가 없고도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러므로 임금이 잘못을 저지르면 신하가 간해야 하고, 아버지가 잘못을 저지르면 아들이 간해야 하고, 형이 잘못을 저지르면 동생이 간해야 하고, 자신이 잘못을 저지르면 친구가 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로서 나라가 위태롭거나 망하는 징조가 없고, 집안에 패륜의 악행도 없고, 부자 형제간 잘못이 없고, 친구와 사귐도 끊어지지 않는다(良藥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湯武以棍棍而昌, 桀紂以唯唯而亡. 君無爭臣, 父無爭子, 兄無爭弟, 士無爭友, 無己過者, 未之有也. 故曰君失之, 臣得之. 父失之, 子得之. 兄失之, 弟得之. 己失之, 友得之. 是以國無危亡之兆, 家無悖亂之惡. 父子兄弟無失, 而交遊無絶也. -《孔子家語 〈六本〉》)"에서 온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쟁은 간쟁(諫諍)이고, 간쟁은 어떤 사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이다.

필자는 새로운 일에 대해서 개방적인 편이다. 신조어도 그중 하나다. SNS가 일상화되자 신조어가 부쩍 늘었다. 오가는 말이 많아지다 보니 어휘가 더 필요한 모양이다. 무분별한 사용은 삼가야 할 것도 없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생성소멸 되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은가. '어이 상실'이란 말이 눈에 띈다. '어이없다'는 말이 강조된 느낌이다. 어이없다는 너무 뜻밖이거나 한심해서 기가 막힐 때 쓰는 말이다.

요즘 국정 책임자와 주변인 말을 듣다 보면 정말 어이 상실이다. 부동산 정책 하나만 보자. 대책이나 상황판단, 경기 전망 등 듣다 보면 뭐 하자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시장은 난리인데 안정적이라며 희망 사항을 나열한다. 정권주위엔 진정한 간관이 없는 모양이다. 간관이 없으면 다른 붕당 고언이라도 들어야 하는 데 귀를 막는다. 결과적으로 간쟁이 없다. 누군들 나라가 잘 못 되기를 바라겠는가? 경제 전문가 집단은 왜 침묵할까? 어이 상실이다 보니 유구무언 하는 것은 아닐까?

풍선효과(風船效果, Balloon Effect)라는 것이 있다. 한 곳이 들어가면 다른 곳이 나오는 것이다. 풍선 안 공기의 양은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부동산 문제도 거시적 측면에서 보면 풍선효과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돈이 되는 곳에 돈이 몰린다. 수도 없이 들어온 이야기다. 금리가 높으면 금융기관으로, 주식 수익이 좋으면 주식 시장으로, 기업 소득이 높으면 생산 및 설비투자로, 경제가 활성화되면 경제활동으로 돈이 몰린다. 당연지사다. 세상에 돈 될 일이 없으니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 아닌가? 출구가 필요하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근원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규제 일변도 정책으로 일관하다 보니 투기과열지구를 지정한다. 안정되는 것이 아니라 풍선효과에 의해 투기 지역이 다른 곳으로 옮겨간다. 대전은 발전 동력을 모두 상실한 도시이다. 그러함에도 뜬금없이 일부 지역 주택가격이 상승했다. 지난 1년 누적 상승률 11.50%였다. 처음은 아니지만, 지난 6월 17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었다. 좀 과장되게 말하면, 이러다가 전국이 부동산 투기과열지구가 되지 않을까 싶다.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오른다. 공급을 줄이거나 억제하면서 왜 가격이 오르냐고 따지면 어쩌자는 것인가? 박원순 전 시장은 재임 9년 동안 주민 동의율을 높여 사실상 재개발을 억제하고, 뉴타운(재개발구역)으로 통칭되는 재개발 사업을 막아왔다. 기반시설 확충도 미흡했다. 과거 정부에서는 아파트 미분양이 넘쳐났다. 그러자 양도세와 취득세를 대폭 감면해 주기도 했다. 심지어 정부가 나서서 투기를 부추기는 측면도 있었다. 공급을 늘려서 서민주택 안정을 꾀한 것이다. 물론 동일한 정책이라도 시장 여건과 흐름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개인이 집 한 채 지으려 해도 기획이나 설계 외에 수십 개 공정이 있는 것으로 안다. 기획, 설계 단계부터 기능을 포함한 실용성, 안정성, 심미성, 경제성 등 고려해야 할 사항도 대단히 많다. 어느 것 하나 소홀할 수 없다. 임시 거처라면 몰라도 신중에 신중을 기한다. 집 장사가 아니라면 적어도 자기 생전에 머무를 계획으로 집을 짓는다. 국가 정책이 즉흥적이거나 일시적이어서야 되겠는가? 상황에 대한 고려나 배려, 중장기계획이나 고민 없이 급조하여서 될 일인가?

숨은그림찾기는 나이와 관계없이 재미있다. 요즈음도 지능이나 치매 판단을 위한 그림 찾기가 종종 눈에 띈다. 초등학교 때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던 친구가 직접 숨은그림찾기 그림을 그렸다. 산과 들이 있는 시골 풍경이다. 숨어 있는 그림을 명시해 놓았는데, 다른 것은 다 찾을 수 있었으나 하나를 찾지 못했다. 그 하나는 마늘이었다. 알고 보니 산과 하천을 대상으로 한 그림 전체가 마늘 모양이었다. 수십 년이 흐른 지금도 기억하니, 충격이 꽤 컸던 모양이다.

나무에 집착하다 보다 보면 숲을 보지 못한다. 불안하고 조급하다 보면 또한 전체를 보지 못한다. 국제 관계속에서의 한국, 역사속에서의 우리를 성찰하여 보다 심도 있는 강령이나 정책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3.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4.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5. 수능 앞 간절한 기도
  1.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2. 고물가에 대전권 대학 학식 가격도 인상 움직임…학생 식비부담 커질라
  3. 대전 2026학년도 수능 응시자 1만 6131명… 교육청 "수험생 유의사항 필독해야"
  4.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5. 충남 청년농 전용 '임대형 스마트팜' 첫 오픈… "돈 되는 농업·농촌으로 구조 바꿀 것"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