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도시철도에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 고객안전 지킴이가 설치된다.
대전시와 대전도시철도공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디지털 뉴딜 사업'인공지능(AI) 분야에 2건의 사업이 선정돼 국비 53억 원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인공지능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불법촬영 등을 감시할 뿐만 아니라, 기계시설물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는 등 고객 안전 지킴이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도시철도 운영효율도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첫 번째 사업은 도시철도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에 인공지능(AI)기술을 적용하는 사업으로 도시철도 역사에서 이상행동이 일어나면 즉각 대처하도록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대전도시철도공사는 일명 '대전형 3마(걱정마, 꼼짝마, 찍지마) 스테이션'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이 사업은 대전도시철도공사가 주관하고 대전시, 한국기계연구원, 한밭대, 플랜아이, 데이터메이커 등 지역기업이 참여해 정부에 제안한 사업으로 공모에 선정돼 국비 35억 원을 지원받는다.
또 다른 사업은 도시철도에 설치된 기계시설물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고장을 사전에 예지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기반 도시철도 기계관리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기계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을 사전에 예지하고 최적의 교체시기 판단 등으로 기계의 수명이 크게 올라갈 것으로 대전시는 기대하고 있다.
문창용 대전시 과학산업국장은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이 갖고 있는 데이터와 행정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스타트업, 출연연, 대학이 합심하여 얻어낸 디지털 뉴딜사업"이라며 "지역 인공지능산업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은 1970년대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한국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과학도시로 불렸다. 대전은 1993년 '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과학도시` 대전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후 대전은 세계적 혁신 클러스터이자 창조경제 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지역공약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육성'을 선정했다. 과학도시 대전은 4차산업혁명특별시라는 또 하나의 도전에 나섰다. 대전은 대덕연구개발 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단지 등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과학 인프라와 기술 역량이 결집된 도시다. 40년 이상 과학기술 연구 개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최적지로 평가를 받고 있다. 대전시는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와 연구혁신센터 조성 및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4차산업혁명특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