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전화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민간 온라인 공연장인 '캠프원'에서 콘텐츠 분야 고용안정과 위기극복 대책 점검을 위한 '디지털 뉴딜 문화컨텐츠산업 전략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날 보고회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 이후 다섯 번째 현장행보로, 코로나 19로 인한 콘텐츠산업 영향과 피해지원을 점검하고, 콘텐츠산업의 잠재력과 확장성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 장소인 캠프원은 기존의 콘서트 사전 리허설 공간에서 현재 비대면 콘텐츠 제작소로 변모해 비대면이라는 콘텐츠산업이 맞이한 위기를 기회로 바꾼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현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가 확산, 장기화되면서 영화, 대중음악, 공연 등 문화콘텐츠 산업의 타격이 큰 상황이다. 관객 급감은 매출 감소로 이어졌고, 제작(창작)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날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상황으로 급격하게 다가온 디지털 사회는 우리사회가 극복해야 할 위기이자 콘텐츠산업에게는 기존의 경계를 넘어 해외수출과 도약을 위한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영화 '기생충', BTS '다이너마이트' 등이 해외 주력시장에서 역사적인 성과를 내고, 게임산업과 웹툰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이뤄낸 콘텐츠 업계의 노력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러면서 "350억원 규모의'코로나19 피해지원 펀드'를 내년에 조성하고 콘텐츠 분야를 포함한 프리랜서 예술인들에게 사회안전망을 제공하는 예술인 고용보험도 연말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우수한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경험이 풍부한 인적자원이 중요한 만큼 산업의 혁신과 콘텐츠 종사자들의 안전망 강화를 위한 대책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한국판 뉴딜의 진정한 가치"라고 했다.
디지털 뉴딜 문화컨텐츠 사업은 비대면 환경의 온라인 공연, 유통, 이용 기반을 확충하고, 차세대 실감형, 지능형 콘텐츠 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콘텐츠 지식재산 세계시장 확산을 지원하는 게 주된 목표다.
이날 보고회 전 문 대통령은 일본 스가 총리와 전화회담을 가졌다. 앞서 문 대통령은 "한일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스가 총리에게 취임 축하 서한을 보냈고, 스가 총리는 "어려운 문제를 극복해 미래지향적 한일 양국 관계를 구축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회신한 바 있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