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가 이달 내 혁신도시 지정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
대전시는 10월 중 본회의에 상정돼 '혁신도시'로 지정될 수 있도록 시정 역량을 총결집해 나갈 방침이라고 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혁신도시 지정 과정은 개정된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이 지난 7월 8일 시행됐고 이후 혁신도시 지정 신청서 제출(국토교통부)이 완료된 상태다. 앞으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게 된다.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하기 위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가 지난달 23일로 예정됐지만, 내부 검토가 필요하다며 연기된 상황이다.
이에 시민들의 상실감이 매우 큰 상황이다.
그동안 대전시는 충청권 4개 시·도 공동건의, 대전 혁신도시 지정 시민 결의대회, 국회 정책토론회 개최, 대전 혁신도시 범시민 추진위원회 구성, 81만 시민 서명부 국회·정부 전달 등 대내외적 활동을 꾸준히 펼쳐왔다. 3월에는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인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혁신도시전담팀과 중앙협력본부 등이 국회에 상주하는 등 물밑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혁신도시 지정 완성을 위해 그동안 대전시 전체가 이를 시정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행정력을 집중해 왔으며, 최근 정치권의 역량을 이끌어 내기 위한 허태정 대전시장의 행보도 계속되고 있다.
허 시장은 지난달 15일 국회를 찾아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김태년 원내대표와 박병석 국회의장을 차례로 예방해 대전 혁신도시 지정의 당위성을 설명하며 국회 차원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대전의 혁신도시 지정 과제가 완료된다면 대전시의 핵심 숙원사업 해결에 따른 지역 발전의 획기적인 동력 마련이 가능해진다.
공공기관 및 관련 민간기업·연구소 등의 이전과 지역대학 간 협력으로 산·학·연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 확보와 함께 대전시가 혁신도시 롤 모델로 제시하고 있는 대전역세권 등 원도심의 도시재생에도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허 시장은 "정치권 등과 힘을 합치고 시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이달 내에 대전 혁신도시 지정 안건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통과해서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에 주력하고 있다. 혁신도시는 이전 공공기관을 수용해 기업·대학·연구소·공공기관 등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 등의 정주환경을 갖추도록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개발하는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혁신도시는 혁신을 창출하고 확산해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지역거점으로서,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낙후된 지방 경제를 지역 특화 발전을 통해 활성화함에 따라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국가 균형발전 정책이다. 정부는 2005년 이후 수도권에 소재하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고 11개 광역시·도에 10개 혁신도시를 건설하는 지역발전정책을 추진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