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의 마지막 관문인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는 8일 본회의를 열어 대전과 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을 위한 안건을 심의할 예정이다.
위원회 내 별다른 이견이 없는 것으로 전해져 원안대로 심의 의결될 가능성이 높다. 균형위에서 심의 의결되면 국토부에서의 지정절차는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은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과 함께 충청권 최대 현안으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차별을 해소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큰 만큼 지정은 당연하다는 여론이다. 국가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요인을 논리로 앞세워 공공기관이 유치될 경우 정부 균형발전 정책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실한 비전도 있다.
수도권은 국토면적의 12%에 불과 하지만 우리나라 인구의 50%가 넘게 살고 있고, 1000대 기업의 무려 75%가 집중된 탓에 교통, 부동산, 환경 문제 등이 갈수록 심화 되고 있다. 반면 지방은 생산 인구 유출로 소멸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균형발전은 시대적 과제가 됐다.
현재 전국에 혁신도시가 없는 광역단체는 대전과 충남뿐이다. 정부는 세종시가 출범한다는 이유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추진한 혁신도시 정책에서 양 시·도를 제외했다. 하지만 행정수도로 계획된 세종시는 1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 반쪽짜리 도시에 머물러 있고, 인근 충남·대전의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 등 다양한 부작용을 노출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그동안 총력전을 펼쳐왔다. 대전과 세종, 충남, 충북 등 4개 시·도는 지난달 28일 "행정수도 완성과 2단계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비롯한 혁신도시 시즌2의 차질 없는 추진이 진행돼야 한다"고 역설하는 등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의 당위성·필요성에 방점을 찍었다. 이날 협의회는 "대전과 충남의 신속한 혁신도시 추가 지정은 물론 충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추가 이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양승조 충남지사도 정치권과 중앙정부를 오가며 혁신도시 지정을 위한 설득 작업에 주력했다.
시민단체들도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달 28일에는 17개 대전 시민단체가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에 대한 조속한 심의를 촉구했다. 이들은 "15년 전 대전을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했던 판단은 오판이었음이 명백히 드러났다"면서 혁신도시 지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정과 정치권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혁신도시 지정에 최선을 다했다"면서 "원도심 활성화와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연계한 새로운 혁신도시 모델로 국가균형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