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청 전경 |
27일 세종시에 따르면 오는 2월 19일까지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라 세종시 폐기물처리시설(소각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 설치를 위한 입지선정계획 결정 재공고를 진행하고 있다.
소각시설 하루 400톤, 음식물자원화시설 하루 80톤(계획수립에 따라 변경가능) 처리가 가능한 시설을 조성할 예정이다.
입지후보지 응모자격은 부지면적 5만㎡ 이상이어야 하고 신청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세대주 80% 이상의 동의와 토지소유자 80% 이상의 매각 동의가 있어야 한다.
시가 재공모를 진행 중이지만, 입지 선정이 쉽지 않아 보인다. 쓰레기처리시설은 공공서비스 중 대표적인 혐오시설로 꼽힌다. 주민들의 동의를 받기가 쉽지 않다. 지난해 2월 공모를 거쳐 전동면 심중리 일원을 후보지로 정했으나 동의서를 썼던 주민이 동의를 철회하는 바람에 무산되기도 했다.
시는 처리시설 설치 지역에는 120억~240억 원을 들여 수영장, 헬스장, 찜질방 등 주민편익시설을 지어주고 주민기금으로 5억~10억 원을 지원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책을 제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추진했던 전동면이 재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1~6생활권 사이의 중심에 위치한 중앙녹지공간이나 소각장 입지에서 다른 용도로 변경된 '6-1생활권 부지' 등도 거론되고 있다.
당초 친환경종합타운은 신도시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6-1생활권 구 월산공단 부지에 설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시와 행복청이 검토용역을 통해 다른 곳으로 옮기기로 결정하고, 기존 부지 용도를 연구단지로 변경했다.
세종시 쓰레기소각장 원도심 이전설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황순덕)는 "(당초 6-1생활권에 소재한) 신도시 쓰레기 소각장 부지를 다른 용도(연구시설 용지)로 바꾼 행복도시건설청장과 LH사장, 세종시장, 의회 관련자들은 이 문제를 원상으로 돌려놔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조치원에 있던 시청과 교육청 등 지방 공공청사를 모두 신도시로 이전하며 원도심을 죽여놓고, 쓰레기 소각장마저 원도심으로 옮기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박용희 시의원(비례)은 제67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읍면과 동지역 모두를 열어놓고 입지를 정하자는 제안을 했다. 박 의원은 "입지 대상지가 시 전역인 만큼, 동지역과 읍면지역 제한 없이 전체 도심을 아우르는 교육과 관광의 명소로 거듭 나야 할 것"이라며 "도심과 공존하며 랜드마크이자 관광명소가 될 정도의 친환경 종합타운을 건설하자"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공모 마감 시점인 2월 19일까지 읍면동 전체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 있다. 좀 더 지켜봐 달라"면서 "여기서 결정이 안되면 용역을 통해 적정 입지 타당성 검토를 거쳐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