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7월 집중호우 때 금강 세종구간이 범람해 야구연습장 등이 침수됐다. |
물관리일원화로 올해 하천관리 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금강유역의 홍수통제에서도 전과 다른 정책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먼저, 충북 영동과 전북 무주, 충남 일부지역 등 홍수취약지구 63곳을 설정하고 이중 40곳에 홍수위험정보 전달체계를 갖춰 주민들과 기관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홍수위험정보는 집중호우 시 범람 위험이 있는 지역에 수위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상황 발생 전에 지자체와 교육기관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아울러, 금강홍수통제소는 용담댐 하류 영동군 양강교에 홍수특보지점을 추가해 14개 홍수특보지점을 운영하고, 지자체 및 주민들이 인근 하천의 홍수위험 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홍수정보를 전체 수위관측지점 119곳으로 확대해 제공한다.
특히, 대청댐의 홍수기 기준수위를 지난해보다 다소 낮게 유지해 집중호우에 대한 대응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방침이다. 앞으로 발표될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수위 기준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호상 금강홍수통제소장은 "홍수취약지구의 홍수정보제공 등으로 홍수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더 많은 홍수위험정보를 주민들에게 제공하여 금강의 홍수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