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음 날인 2일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서 온천1동 행정복지센터 직원들이 선거벽보를 철거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국민의힘은 지방선거 승리 후 빠르게 주도권 장악에 나서면서 사기가 충만한 모습인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패배 후유증 속에 책임론까지 일며 어수선한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형성될 정치지형이 내후년 총선과도 연결되는 만큼 양당이 포스트 지선 정국을 어떻게 끌고 갈지 관심이 쏠린다.
지역 정치권은 7일부터 본격적인 포스트 지선 정국에 돌입했다. 국민의힘 충청 4개 시·도 광역단체장 당선인의 인수위원회가 가동돼 시·도정 인수 절차에 착수하고, 여야 각 정당이 지선 이후 정국방향 설정에 들어가면서다. 양당 모두 유리한 방향으로 정국을 끌고 가겠다는 목표지만, 처한 현실은 여야 간 차이가 크다.
우선 국민의힘은 중앙에 이어 지방 권력도 차지해 명백한 우위를 점했다. 완승에 도취하지 않고 겸손한 자세로 지역민들의 호감을 사고 지역 주도권을 빠르게 장악하겠다는 목표다. 국민의힘의 이 같은 자세엔 '학습효과'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랜 기간 지방 권력의 변두리에 머물렀던 과거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목적의식을 분명히 세운 것이다. 민주당의 몰락 또한 반면교사로 삼겠다는 게 국민의힘의 설명이다.
겉으론 '겸손 모드'를 취하면서도 내부적으론 사기가 충만한 상태다. 20대 대선과 8대 지선의 연이은 승리로 그동안 빠져있던 선거 무력감을 극복하고 주류세력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자신감이 형성되고 있다. 흐름을 이어가면 내후년 국회의원 총선거 승리도 충분히 가능하단 희망 섞인 기대도 흘러나온다. 다만 공신들 간의 논공행상 다툼과 줄서기 행태가 반복된다면 지역민들이 금세 등을 돌릴 수도 있다.
민주당은 후유증에 시달리는 중이다. 어려운 선거라고 판단했어도 최종적으론 승리를 낙관했다는 점에서 잇따른 패배의 충격이 더욱 크게 다가와서다. 특히 지방 권력을 국민의힘에 완전히 내주면서 상당한 무력감에 빠진 상황이다. 당 일각에선 후유증을 빨리 털어내고 야당으로의 체질 변화가 필요하단 주장이 제기되지만, 구체적인 행동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부분 중앙당의 주도권 싸움을 관망하며 추이를 지켜보는 눈치다.
이런 가운데 책임론도 등장했다. 일부 당원들 사이에서 패배 원인을 명백히 짚고 책임질 사람을 가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기 시작한 것이다. 잡음이 많았던 공천 과정에서부터 네거티브에 치중한 선거전략, 시장과 구청장 후보 간 유기적이지 못했던 관계, 중앙당에 의존한 선거 방향까지, 다양한 원인이 지목되고 있다. 책임 공방이 주류와 비주류 간 갈등으로 번질 경우 민주당이 받게 될 타격은 배가 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인수위원회가 가동되면서 국민의힘의 권력 이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여야 각 정당도 당권 경쟁과 내후년 총선으로 시선을 돌리면서 지방선거 정국이 빠르게 정리되고 있다"며 "뒤바뀐 지방 권력에 따라 여야 시·도당의 지위 변화는 물론 앞으로 포스트 지선 정국을 풀어나갈 전략도 상반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