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고성능컴퓨팅(HPC)기반 국가 디지털인프라 구축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고성능컴퓨팅(HPC)기반 국가 디지털인프라 구축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 승인 2022-08-25 16:45
  • 신문게재 2022-08-26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황순욱 사이언스칼럼 사진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지난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상·기후, 재난·재해, 나노·소재 등 7개 분야에 걸쳐 초고성능컴퓨팅 전문센터를 선정했다. 엑사컴퓨팅 시대로의 전환 등에 대응해 작년 5월 부총리 주재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발표한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혁신전략'의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분야별 전문센터 설립은 10대 초고성능컴퓨터 활용 전략 분야를 선정해서 국내 초고성능컴퓨터 활용을 강화한다는 3대 정책 방향 중의 하나다.

이번 전문센터 선정을 계기로 고성능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기반 국가 디지털인프라 구축을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하자. 단순히 각 분야 전문센터 구축 및 HPC 자원 공동 활용이어서는 안 된다. 국가 차원의 디지털인프라 구축이라는 큰 그림으로 추진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AI에 있어 HPC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국가 차원의 HPC 자원 확보, 운영·서비스 제공, 사용자 지원, HPC 운영·서비스 기술 개발, HPC 교육·인력 양성 등의 내용을 포괄하는 계획이어야 한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국립과학재단(NSF) 주도 하에 국가 사이버인프라스트럭쳐(Cyberinfrastructure)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익시드(XSEDE)라는 국가 사이버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익스드는 NSF 예산으로 구축된 슈퍼컴퓨팅 자원 활용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2011년부터 추진해오고 있으며 이번 달에 종료될 예정이다. 9월부터는 엑세스(ACCESS)라는 후속 프로젝트로 향후 5년간 더 추진될 예정이다.

NSF의 국가 사이버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익시드는 2011년에 시작해서 2016까지 5년 동안 약 121백만 달러(약 1585억원)가 투입되었다. 2016년 9월부터 2단계 사업(XSEDE2.0)을 착수했으며 110백만 달러(약 1440억원)를 투입했다. NSF 차원에서 국가 사이버인프라 구축에 지난 10여 년간 3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 셈이다. 후속인 엑세스 프로젝트에는 52백만 달러(약 680억원)가 투입될 예정이다.



익시드는 그 전신인 테라그리드(Teragrid) 프로젝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테라그리드는 샌디에고 슈퍼컴퓨팅센터(SDSC) 등 4개의 컴퓨팅 센터 자원 연계·활용을 위해서 2001년 8월 53백만달러(약 690억원)의 예산으로 시작되었다. 2002년과 2003년에 몇 개의 컴퓨팅 센터를 추가로 연계하면서 각각 35백만달러(약 460억원)와 10백만달러(약 130억원)가 투입되었다. 2005년 8월에 NSF내에 사이버인프라스트럭쳐국을 설치되고 150백만달러(약 1965억원)가 투입되면서 테라그리드라는 이름하에 국가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 구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NSF에서 국가 사이버인프라 구축에 지난 21년간 6200억원 이상을 투입했으며 앞으로 5년간 680억원을 더 투입할 예정이다.

미국 NSF에 해당하는 기관이 한국연구재단(NRF)이다. NSF의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국(OAC)처럼 필요하다면 한국 NRF에 전담부서를 두고 NSF의 OAC와 협력하면서 국가 차원의 HPC 디지털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지난 20여년간 쌓은 미국의 사이버인프라 구축 노하우을 벤치마킹해서 한국의 실정에 맞는 국가 디지털인프라 구축 계획을 세우자.

지난 7월 10일 보스턴에서 열렸던 PEARC2022(Practice & Experience in Advanced Research Computing) 콘퍼런스 마지막 날에 익시드 책임자인 존 타운 박사의 지난 11년을 회상하는 발표가 있었다. "커뮤니티를 빌딩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채 내가 커뮤니티를 빌딩하고 있더라"라는 말이 인상적이다. 한국의 디지털인프라 구축은 단순 하드웨어 인프라가 아니라 처음부터 국내 HPC 커뮤니티 생태계 구축으로 추진해야 한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행정수도특별법 드디어 국회 심사 돌입…충청 총력전 시급
  2. 국정과제 포함된 2차 공공기관 이전… 충남도 유치 재시동
  3. 수강 안한 의대생 위해 학칙 개정?… 개강 앞둔 지역 의대 구제 방안 고심
  4. 충남건설본부-전문건설업계 상생발전 방안 모색
  5.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개별1:1 지원서비스 제공지관 역량강화 특강
  1. "그린캠퍼스 조성"… 충남도-도내 7개 대학, 다회용기 사용 협약
  2. [2026 수시특집-우송정보대] 지역혁신 넘어 글로벌브랜드-K 선도… 전문기술인재 키운다
  3. '공연예술 특화도시' 세종시, 하반기에도 즐거움 가득
  4. 충남교육청 원문 공개율 87.4%… 전국 최고 수준
  5. 건협 충남도·세종시회, 중대재해 근절 위한 '안전관리 특별교육' 개최

헤드라인 뉴스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2학기 개강을 앞두고 지역 의과대학들이 의대 정원확대 갈등 여파로 1학기를 수강하지 않았거나 시험을 치르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구제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당초 교육부는 미복귀 의대생에 대해 유급 처분을 지시했으나,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의대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유급 대상자들의 2학기 복귀를 허용하면서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은 특별학기 개설이나 1학기 연장 등을 통해 정상 진급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지만, 학사 일정 조정은 물론 학칙 개정까지 필요해 골머리를 앓는 분위기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최근 교육부의 기조에..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충남 아산 경찰병원 건립이 본격화된다.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서다. 충남도는 이번 예타 통과로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도는 20일 임기근 기획재정부 제2차관 주재로 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아산 경찰병원 건립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액 국비 사업인 아산 경찰병원은 총사업비 1724억원을 투입해 아산시 초사동 일원 경찰종합타운 내 8만 1118㎡ 부지에 심뇌혈관센터 등 6개 전문의료센터와 24개 진료과,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수준으로 건립될 예..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가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를 결성했다. 도는 이를 통해 대한민국 미래 경제를 이끌 '유니콘'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도는 20일 소노벨 천안에서 김태흠 지사와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이대희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 김인태 IBK기업은행 부행장, 백남성 NH농협은행 부행장, 이동열 하나은행 부행장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 결성식을 개최했다.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중기부가 실시한 모펀드 공모에 도가 선정됨에 따라 조성한다. 펀드 규모는 1011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