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초거대 AI 언어모델 챗GPT, 구글 시대 엔드게임의 서막일까?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초거대 AI 언어모델 챗GPT, 구글 시대 엔드게임의 서막일까?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 승인 2023-01-05 17:14
  • 신문게재 2023-01-06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황순욱 사이언스칼럼 사진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지난 한 달여 동안 글로벌 IT 업계와 SNS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초거대 AI 언어 생성 모델 GPT-3.5기반 대화형 챗봇인 '챗GPT'의 출현이다. 챗GPT 관련 많은 얘기가 세간에 회자되고 있다. 지난 11월 30일에 공개된 지 "5일 만에 시범서비스 사용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이는 넷플릭스 3.5년, 페이스북 10개월, 인스타그램 2.5개월에 비해 가히 엄청난 열풍이다.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의 12월 3일자 "구글은 끝났다"(Google is done)라는 도발적인 기사도 챗GPT에 대한 호기심을 부채질했다.

지금까지 많은 글로벌 챗봇 서비스가 출시됐다. 아마존의 알렉사, 애플의 시리, 마이크로소프트의 테이 등이 대표적이다. 2016년 선보인 MS 테이의 경우 일부 사용자들의 쇠뇌에 의해 부적절한 차별발언으로 16시간 만에 서비스가 중단됐다. 지금까지 챗봇에 대한 인상은 그저 심심할 때 재미삼아 한번 해보는 장난감 정도다. 공개 후 잠시 사람들의 이목을 끌다가 이내 관심 밖으로 사라졌다. 이번은 좀 다른 것 같다. 출시된 지 한 달이 넘었는데도 SNS상에 챗GPT 해보기(챗GPT로 돈벌기·책쓰기·유튜브 영상 만들기·코드 짜기 등) 열기가 입소문을 타고 점점 더 번져나가고 있다.

필자도 챗GPT 사이트에 가입해서 "너는 누구냐"(who are you)라고 물어보았다. "저는 오픈AI에 의해 훈련된 초거대 언어 모델인 어시스턴트입니다. 저는 사람이 아니라 질문에 답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라는 답변이다. "어떻게 훈련받았나"(how were you trained)라고 물었더니, "제 경우에는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으로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방법을 학습해 인간과 유사한 문장을 생성하도록 훈련받았습니다. 제 훈련 데이터는 책, 기사, 웹사이트 등 다양한 출처에서 가져왔습니다"라고 답한다.

챗GPT는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를 섭렵한 오픈AI에서 개발한 '초거대 AI 언어 생성 모델'이다. 2016년 MS 챗봇 테이의 16시간 만의 운영 중단 사건 교훈 때문인지 오픈AI에서는 이번 챗GPT 개발에 각별히 신경을 쓴 것 같다. 챗GPT는 비합리적인 주장, 폭력, 혐오, 차별을 담은 대화는 거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사실과 다른 질의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고 바로 잡아주기도 한다.



오픈AI에 의하면 챗GPT는 기존의 GPT-3를 확장해서 인간 사용자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에 의해 훈련됐다고 한다. 챗GPT의 응답에 사람이 점수를 매기고 이를 강화학습 보상 알고리즘에 반영해서 챗GPT의 보상 모델을 학습시킨 것이다. 주어진 질의에 대해 사람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좋은 응답이라 생각할수록 보다 큰 보상을 받고 유해한 텍스트는 생성하면 보상을 받지 못하도록 학습된 것이다. 챗GPT와 대화할 때 기계가 아닌 논리정연하면서 유창한 사람과 대화한다는 느낌을 받는 것도 이러한 RLHF 기술 덕분이 아닐까 한다.

2023년 계묘년 새해가 밝았다. 챗GPT가 어디로 어떻게 진화할까? 벌써부터 100조 개의 매개변수를 갖는 훨씬 더 진화된 GPT-4의 2023 출시 소문이 무성하다. 2023년이 구글에게 물어보는 구글링(Googling) 시대에서 챗GPT에게 물어보는 챗지피팅(ChatGPTing) 시대로 전환하는 변곡점이 될지, 아니면 MS의 테이처럼 '챗GPT 해보기' 열풍이 점차 사라지는 해가 될지 한번 지켜보자. 구글 검색과는 달리 출처를 알 수 없는 텍스트를 너무 확신에 찬 어조로 마구 내뱉는다는 챗GPT에 대한 혹평도 만만치 않다.

'챗GPT의 출현과 미래'에 대한 챗GPT의 의견을 한번 물어보았다. "챗GPT와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의 부상이 우리가 컴퓨터 및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점점 더 널리 보급됨에 따라 잠재적인 위험을 염두에 두면서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답한다. 2023년 새해 결심으로 챗GPT의 조언처럼 '챗GPT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좀 더 친해지고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 탐구하기'로 정해야겠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탈세 혐의' 타이어뱅크 김정규, 항소심도 징역 7년 구형
  2. 걸을 수 있는데 28년간 하지마비? 산재보험 부당수급 잇달아 적발
  3. 증산도 상생봉사단, 태백산서 자연정화.산불예방 캠페인 벌여
  4. 충남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5.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전 오피스텔 공급 절벽
  1.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2.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3.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4. 세종에선 고등학생들이 선거벽보에 담뱃불… 현재까지 3건 수사중
  5. 유성구,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 집중 발굴

헤드라인 뉴스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21대 대통령 선거를 10여 일 앞두고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첫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 결과가 반영된 조사에서 '1강 1중 1약' 흐름이 확인됐다는 평가 속 이 후보는 두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40% 중후반대 지지율로 우위를 점했다. 선거일까지 지금의 흐름이 굳어질지, 단일화 성사 등의 이벤트로 구도가 흔들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부동층 표심이 승부를 결정지을 변수로 꼽힌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권 지역 주민 다수는 다음 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지역 균형발전 과제로 '지역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최우선 꼽았다.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