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대전 유성구 숭현서원을 찾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대전 유성구 숭현서원을 찾아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5-04-09 10:18
  • 수정 2025-04-09 16:4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25년 4월 8일 (음 3월 11일).

대전 숭현서원 춘계제향을 올리는 날이다.

필자는 진잠향교에서 활약하고 있는 양완석 장의와 함께 이곳을 찾았다.

서원에 들어서니 문화해설사 편금순, 정미향, 강완식 씨가 우리를 맞아 해설해 주었다.



편금순 문화해설사의 말에 의하면, 대전 유성구에 있는 숭현서원(崇賢書院)은 회덕의 충절지사인 김정, 정광필, 송인수 등 여덟 분의 명현을 모시는 사우로, 유학 업적을 남긴 옛 성현들의 고귀한 뜻을 기리기 위해 16세기 후반 창건되어 임란 후 조정에서 '숭현'이라 사액되었다 한다. 그런데 마침 이날이 숭현서원 춘계 제향을 올리는 날이라 원장이면서 초헌을 하신 임덕순, 아헌에 권태희, 종헌에 송용길, 나기선, 강주성 등 유림들과 세종에서 왔다는 최현금, 신용숙, 석명옥 등 시민 200여 명이 모여 제향을 올렸다.

8f08a4d9bd61cca01864de467ca55dc9d905f8d3
숭현서원 춘계 제관들 모습
문화해설사 정미향 씨의 해설에 의하면, 대전 숭현서원은 1992년 7월 22일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한다. 숭현서원이 있는 지금의 원촌동은 보통 '서원말'이라고 불리는데, 이곳에 숭현서원이 있었던 데서 유래한 지명이란다. 이 서원의 전신은 회덕의 충절지사인 충암 김정, 수부(守부) 정광필, 규암 송인수를 배향하는 사우로 출발하여 회덕의 용두록(龍頭麓)에 세워졌다고 알려줬다.

문화해설사 강완식 씨의 해설에 의하면, 이곳에 세워진 '숭현서원지(崇賢書院址)'에서는 정광필(鄭光弼)·김정(金淨)·송인수(宋麟壽)·김장생(金長生)·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이시직(李時稷)·송시영(宋時榮) 등 8인을 제향(祭享)하였다고 한다.

숭현서원은 처음 회덕(懷德) 용두록(龍頭麓)(현 대전광역시 중구 용문동)에 창건되었으나 임란 때 병화를 입어 소실되었다. 그리고 1609년(광해군 1) 유생 송남수(宋?壽)가 향유(鄕儒)를 이끌고 회덕현의 서쪽, 지금의 원촌동에 옮겨지었다고 하는데, 당시에는 정광필·김정·송인수 3인만 제향하여 삼현서원(三賢書院)이라 불렀고, 그 해에 이시직(李時稷) 등 유생들이 사액을 건의하여 '숭현(崇賢)'의 액호(額號)가 내려졌으며, 1646년에 김장생을 추향(追享)하였고, 1681년에 송준길, 1695년에는 송시열을 추향하였다 한다.

송준길을 추향하기 전인 1658년에는 별묘(別廟)를 세워 병자호란 때 순절한 이시직과 송시영을 제향하였는데, 이렇게 8인을 제향하므로 팔현묘(八賢廟)로 호칭되기도 하였으며 1667년에는 별묘에 제향되었던 이시직·송시영을 서원 본당에 올려 동서(東西)로 배향(配享)하였다 한다.

제향 위차(位次)는 동벽 1위에 정광필, 서벽 1위 김정, 동벽 2위 송인수, 서벽 2위 김장생, 동벽 3위 송준길, 동벽 4위 송시열, 동벽 5위 이시직, 동벽 6위 송시영 순으로 배치되었으며, 숭현서원은 창건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회덕의 유력 사족인 은진송씨가 깊이 관련되었고, 1871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고 한다.

양완석 장의는 필자를 '묘정비'가 세워진 곳으로 안내하였다. '묘정비'는 숭현서원의 내력을 적은 비로 1625년 상촌 신흠이 짓고, 1667년 우암 송시열이 덧붙인 글을 동춘당 송준길이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위에 쓰인 '회덕현'이란 글자는 전서체로 가히 자랑할만한 글 솜씨라 하였다.

2
숭현서원에 세워진 묘정비
회덕을 중심으로 대전에는 은진송씨 15만명 정도가 살고 있다고 한다. 논산시 노성면과 공주시 탄천면은 파평윤씨 집성촌이다.

그 후손들도 물론 이곳을 다녀갔으리라 본다.

이런 문화재와 기록물을 봄으로써 우리는 역사를 바로 알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도 기회 있을 때마다 양완석 장의를 따라 향교를 찾게 되고 역사를 배우는 즐거움을 갖는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3.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4. 자운대 공간 재창조 사업, '수면 위로 언제 드러날까'
  5.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1.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2.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3. [교정의 날] "사회 지탱하는 교정, 첫 단추는 믿음" 대전교도소 박용배 교감
  4.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5. [중도 초대석] 우송대 진고환 총장 "글로벌 대학서 아시아 최고 AI 특성화 대학으로"

헤드라인 뉴스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의 가을야구가 대전에서 펼쳐지는 날 기차와 고속·시외버스 이용해 대전을 오가는 발길이 전주보다 최대 2만6000여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많은 사람이 운집하는 한화의 대전 홈경기가 할로윈과 같은 시기에 개최되면서 경기 시작 전후와 은행동 지역에 인파가 밀집해 발생하는 사고 예방관리가 요구된다. 한국시리즈 엘지를 상대로 두 번의 패배를 당한 한화이글스가 29일부터 3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연전 홈경기를 앞둔 가운데 경기 시작 전후의 안전관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중도일보가 한화이글스 대전 홈경기가 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두고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세금 문제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기자 간담회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보유세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에서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대체로 0.15% 이내 수준으로 OECD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제 수준에 맞추려면 보유세..

대전 정치권, 이태원 참사 3주기 맞아 "안전한 사회 만들 것" 한목소리
대전 정치권, 이태원 참사 3주기 맞아 "안전한 사회 만들 것" 한목소리

충청 정가가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은 29일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들 것을 다짐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 "159명의 안타까운 희생을 깊이 추모하며, 여전히 고통 속에 계신 유가족과 생존자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시당은 "늦었지만 의미 있는 걸음이다. 특별조사위원회는 참사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늦어진 진상 규명은 조속히 마무리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을 향한 2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