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양군청 전경 |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주민 생활과 밀접한 복지 및 생활 인프라 예산이 다수 포함됐다. 도전1리와 사지원2리 다목적회관 조성(12억 원), 장현리, 연곡1·2리, 보발1리 경로당 개보수(4억 원), 댐 주변지역 공공시설 정비와 물품 지원(16억 원) 등이 그 예다.
특히 댐 주변지역을 위한 예산은 상대적으로 실효성이 높다는 평가다. 그동안 개발의 사각지대로 지적돼 온 해당 지역에 실질적인 생활환경 개선 효과가 기대되며, 지역 간 균형 발전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일부 투자 항목은 예산의 우선순위에 대한 논의 여지를 남긴다. '학교로 온(ON) 프로젝트'(40억 원), 맨발걷기 길 조성(5억 원), 수상공연장 조성(18억 원) 등은 지역 내 문화·교육 기반 확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그 효과나 주민 체감도 측면에서 정교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 대규모 투자 사업도 다수 포함됐다. 미라클파크(93억 원), 디캠프(43억 원), 스튜디오 다리안 W(25억 원), CCU 기업지원센터(40억 원) 등은 향후 지역의 창업·관광 기반 구축을 노린 것이지만,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실제 수요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단양사랑상품권 할인 보전액(10억 원)과 아쿠아리움 관람객 지역상품권 환급 사업(6억 원) 등 소비 진작을 위한 재정 지원도 이어졌지만, 반복적인 지원 구조가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에 어떤 효과를 줄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도 있다.
김문근 단양군수는 "군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현장 중심 사업을 우선 편성했다"며 "앞으로도 예산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다양한 분야에 재정이 투입되며 군정 전반의 균형 발전을 꾀한 시도라는 평가와 함께, 일부 사업의 실효성과 우선순위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와 주민 의견 수렴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과제도 함께 남겼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