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노믹스 5개년 계획'은 ▲점프노믹스 ▲AI노믹스 ▲모빌리노믹스 ▲페스타노믹스 ▲에코노믹스 등 5대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도시와 기업이 함께 도약하는 '점프노믹스' 전략을 본격 가동한다. 고양 전역을 '점프업 벨트'로 조성해, 스타트업과 예비유니콘 1천 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본사는 서울에 두더라도, R&D센터와 신사업본부 같은 '미래본부'는 고양으로 옮기도록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그 기반이 될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는 고양이 경기 북부 최초로 지난해 지정받은 바 있다. 반년 만에 입주 기업 수는 8% 증가했고, 일자리도 1천 명 이상 늘어나는 등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은 송포·가좌·장항·대화 일원을 대상으로 올해 안에 산업부 자문·검토를 마무리해 신청하고, 내년 상반기 지정을 목표로 한다.
대곡역세권은 2026년 지구 지정, 2031년 입주를 목표로 AI·콘텐츠·빅테크 등 첨단산업 융합의 실리콘밸리형 허브로 조성된다. 고양·김포·파주를 하나로 엮는 '서북부 메가클러스터' 구상도 추진된다.
AI노믹스를 통해 고양은 'AI 소비 도시'에서 'AI 생산 도시'로 전환을 꾀한다. 또한 드론·스마트폴·3000여 대의 CCTV 등으로 도심 전역을 실시간 관리하는 거점형 스마트시티도 연내 완공할 예정이다. 이동이 곧 산업이 되는 '모빌리노믹스' 전략 아래, 자율주행·드론·UAM 등 미래교통 기술을 앞서 실증하는 도시로 도약한다.
2027년까지 수도권 최초 스마트물류 실증도시를 조성해, 로봇이 출고부터 배송까지 맡는다. 내년엔 킨텍스~김포공항 간 하늘 길을 개통하고, 버티포트·정비인프라·드론클러스터 등 UAM 핵심 인프라도 구축 추진한다. 또한 자율주행버스, 스마트교차로, AI 기반 교통운영체계를 통해 '정체·대기·낭비 없는 3무(無) 교통도시' 구현에도 속도를 낸다.
페스타노믹스는 공연·전시·방송영상·스포츠 등 고양의 문화 인프라를 산업화하는 전략이다. 이어 '에코노믹스(Economics)' 전략도 본격화된다. 창릉천·공릉천·한강하구·장항습지를 연결한 '블루네트워크'는 고양만의 생태 자산이다. 시는 이를 '블루 트라이앵글'로 연계하고, '녹지 100 프로젝트'와 5분 내에 고양의 경관을 느끼는 '5분 뷰 체계'를 통해 도시와 자연을 함께 복원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이제 주민들은 주거만 많은 도시를 원하지 않는다"며 "이미 갖춘 인프라 유지에도 매년 수백억이 들어가는 지금, 급변하는 시대에 대응하려면 산업도시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밝혔다. 이어 "'G-노믹스 5개년 계획'은 철학이나 이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전환을 위해 고양시가 드리는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고양=염정애 기자 yamjay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