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도일보 자료 사진. |
지난 7월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로 시작된 불매운동이 일본 여행, 일본 맥주뿐 아니라 유니클로 기업, 일본 자동차 등 전방위적으로 확산됐는데, 일본 관련 상품 매출 급감이 꾸준히 이어지면서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국내 자동차 산업동향'에 따르면, 수출규제 이후 일본 수입차 판매는 전년 대비 56.9% 감소했다.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확산되며 소비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브랜드별로 보면 닛산은 87.4% 판매 하락세를 보였다. 뒤를 이어 혼다(-80.9%), 인피니티(-68.0%), 토요타(59.1%)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렉서스 판매만 7.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맥주도 타격이 크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시스템을 보면 일본 불매운동 이후 일본산 맥주는 10위 권 밖으로 밀려났다. 일본 맥주는 지난 2009년 이후 1위 자리로 오른 이후 불매운동 전까지 단 한 번도 밀려난 적이 없었다.
대형마트에서 일본 맥주를 매장에서 제외한 것도 요소 중 하나로 보인다. 한 대형마트에선 이달 일본 맥주 매출이 전년과 견줘 90% 이상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편의점도 마찬가지다. 편의점에선 세계맥주 묶음 세트 판매 시 일본 맥주를 포함하지 않았고, 일부 편의점에선 일본 맥주 자체를 맥주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대전 서구의 한 편의점 점주는 "일본 맥주 자체를 뺀 채 매장 운영을 하고 있다. 매장에서 팔고 안 팔고 여부는 점장 자유"라며 "국민 중 한 사람으로서 불매운동을 꾸준히 이어나가겠다고 생각해 맥주뿐 아니라 일본 담배도 매장에서 뺐다"고 말했다.
유니클로의 경우 매출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 한 백화점에 따르면, 유니클로 매출은 한 자릿수부터 두 자릿수까지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불매운동 이후 꾸준히 하락세였고, 지금도 매출은 계속 역신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의류 비수기인 7~8월 다른 브랜드보다도 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NO 재팬의 일환으로 시작된 일본여행 불매도 여전하다. 지난 추석의 경우 인천에서 일본으로 떠나는 여행객은 지난해 추석 연휴와 견줘 49.2%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여행객이 4%에 줄어든 것을 감안해도 일본 불매운동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두달이 지났고, 언론뿐 아니라 대중의 관심도 잊혀지는 것 처럼 보이는데도 꾸준하다"며 "유통업계에선 일본 관련 식자재, 여행 등에 관해선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