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2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7강 영천세이(潁川洗耳) 제37강 영천세이(潁川洗耳) : 영천(潁川)에서 귀를 씻다 글자로는 潁(강이름 영), 川(내 천), 洗(씻을 세), 耳(귀 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야기는 송(宋)나라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세설신어(世說新語)에서 볼 수 있다. 이 고사는 중국의 태평성대(太平聖代..
2020-09-15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호랑이의 위엄(威嚴)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리다. 글자로는 狐(여우 호) 假(거짓 가, 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로 구성되어있으며, 출전은 전국책 초책(戰國策 楚策)에 보인다. 본 고사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
2020-09-08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5강 당랑포선(螳螂捕蟬) 제35강 당랑포선(螳螂捕蟬) :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한다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捕 잡을 포, 蟬 매미 선 당랑포선(螳螂捕蟬)은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칠 위협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하고 있으며, 한시외전 정간(韓詩外傳 正諫)에서 볼 수 있다. 전..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