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기억속으로⑤] 대전 송촌동 택시기사 강도살인 : 부러진 칼날과 발자국

[그날의 기억속으로⑤] 대전 송촌동 택시기사 강도살인 : 부러진 칼날과 발자국

  • 승인 2021-09-13 15:25
  • 수정 2021-09-13 15:36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그날의 기억속으로

 

 

 

 

50대 택시기사 온몸 28곳 흉기에 찔린 채 택시서 사망
부러진 과도 칼날과 발자국 발견… 현장서 DNA 채취도
세탁소 주인 결정적 제보 등 범인 검거 가능성 여전히


 

2021091301000872200027643
중도일보 2006년 4월 12일 자 6면(사회면)에 게재된 당시 사건 단신 기사.
그날의 사건은 여전히 미궁에 빠져 있다. 50대 택시 기사가 자신이 몰던 택시 안에서 처참한 모습으로 발견됐다. 범인은 현장에 많은 것을 남겼다. 부러진 칼날과 발자국 그리고 혈흔에서 발견된 DNA까지. 곧 잡힐 줄 알았던 범인은 그날로부터 15년이 넘도록 경찰의 수사망을 피해가고 있다. 완전범죄는 없는 법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의 흔적을 쫓는 이들이 있다. 누군가의 기억속에서 잠들고 있을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기 위해 2006년 4월 11일로 시간을 되돌려보자.

 

전날인 10일 김 씨는 그날도 야간운행에 나섰다. 주간근무보다 조금이나마 돈을 더 벌 수 있었기 때문에 한 선택이다. 사업 실패 후 택시기사가 된 김 씨는 성실한 삶을 살아가던 평범한 가장이었다. 평소 야간운전을 마치면 부인에게 귀가 소식을 전했던 김 씨가 이날은 유독 연락도 없이 집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부인은 심근경색을 앓고 있던 남편이 변을 당한 것은 아닌지 오전 7시 20분께 경찰에 실종신고를 했다.

비슷한 시각 대전 대덕구 송촌동 일대를 지나던 택시기사 A씨는 대양초 인근에서 수상한 택시를 발견했다. 트럭 옆면에 충돌한 택시 한 대가 시동이 걸린 채 가만히 서 있었고 운전석에 사람은 보이지 않았다. A씨는 충돌한 택시를 확인하고 황급히 경찰에 신고했다. 김 씨가 자신의 택시 뒷좌석에서 온몸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었다.

ㅇㅇ
사건 당시 현장 모습
출동한 경찰이 확인한 현장은 처참했다. 택시 뒷좌석에 쓰러져 있는 김 씨의 옷은 피로 뒤덮여 있었다. 김 씨에게선 바로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상흔이 발견됐다. 후에 부검 결과 김 씨의 몸에선 무려 28곳이 찔린 것으로 확인됐다. 사인은 과다출혈이다.



택시 내부는 흐르고 튄 피가 낭자했다. 칼자국은 얼굴과 머리에 집중됐으며 이를 막기 위해 손과 팔엔 많은 방어흔이 남았다. 180㎝에 80㎏이 넘는 김 씨가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경찰과 법의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범인은 누구며 또 어디로 갔을까. 경찰은 사건 초기 택시 강도에 의한 범행 가능성에 초점을 뒀으며 범인이 탑승하기 전 내린 승객을 찾아 나섰다. 범행 전 승객이 하차한 시각은 오전 4시 27분. 범인이 승차한 시간은 불과 16초 후였다. 바로 탑승했던 것으로 보아 탑승 장소는 사람이 많은 번화가일 것으로 추정, 경찰은 택시 운행기록장치를 토대로 택시가 이동한 3.500㎞ 반경을 샅샅이 살폈지만 범인의 덜미를 잡는 데는 실패했다.

이후 경찰은 수사 방향을 택시강도에 한정 짓지 않고 당시 택시 안에서 현금 20만 원이 그대로 발견된 만큼 원한에 의한 살인에도 여지를 두고 수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범인은 이번에도 경찰의 수사망을 피해갔다.

잔인한 범행을 저지른 범인이 15년째 죗값을 받지 않은 채 경찰의 눈을 피하고 있지만 당시 현장에 남긴 흔적을 말미암아 언젠가 잡힐 수밖에 없는 처지다. 당시 범인은 현장에 몇 가지 흔적을 남겼다. 부러진 칼날과 발자국이 그것. 택시 안에는 10.5㎝ 길이의 부러진 과도 칼날이 발견됐다. 흔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범인이 초범일 가능성이 높다. 범인은 또 현장에 자신의 발자국을 남겼다. 250~265㎜가량으로 추정되는 족적은 범인의 체구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123
사건 당시 택시 안에서 발견된 범인의 족적과 비슷한 모양의 신발 밑창

또 하나 결정적인 단서는 현장에서 발견된 혈흔이다. 현장에서 숨을 거둔 김 씨의 것과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개의 혈흔이 현장에서 감식됐다. 대조할 DNA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초범일 가능성이 재차 드러난다. 이 사건엔 결정적인 증인도 있다. 11일 오전 8시께 김 씨가 발견된 현장에서 5K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한 세탁소 주인은 '피 묻은 티셔츠를 입은 남성이 세탁물을 맡기러 왔었다'고 경찰에 신고했다. 세탁이 어렵다고 남성을 돌려보냈지만 한 시간가량 후 또 와서 세탁을 요청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세탁소 주인이 본 이 남성의 키는 165㎝에서 175㎝가량. 택시에서 발견된 발 크기와 어울리는 신장이다.

이 사건은 무자비한 범인의 행각과 사건 발생 초기부터 사건이 알려지면서 여러차례 언론을 통해 재조명되기도 했다. 이 사건 범인을 잡기 위해 수사를 지속하는 대전경찰청 미제전담수사팀은 다양한 첩보를 통해 지금 이 순간도 범인의 뒤를 밟고 있다. <제보 전화 042-609-2772 / 010-2062-4446>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2.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3.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5.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1.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2.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3.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4. 세종시 빛축제, 시민 힘으로 다시 밝힌다
  5.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