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승인 2021-12-02 14:21
  • 수정 2021-12-02 14:31
  • 신문게재 2021-12-03 10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컷-비건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는 '학대'

'좋아한다' 의미 되돌아봐야…

 

KakaoTalk_20211129_135556684
대전의 한 앵무새카페.


"식물을 좋아하는 마음을 앞세우기보다 식물과 그들이 속한 생태계의 안녕을 빌어주는 것, 그리고 그들의 행복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고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 과연 무엇이 식물이 행복해지는 길인지 묻고 그 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것."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작가는 책 '식물과 나'에서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식물을 무단채취하는 사례가 많다며 학습을 통해 '제대로' 좋아할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을 좋아하는 우리의 문화는 올바른 방법인지 묻고 싶다. 동물을 좋아한다며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에 그들을 가둬놓고 전시·유흥을 위해 소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앵무새 카페에 직접 방문해봤다. 앵무새들은 좁은 철장에 갇혀 있고 손님이 원할 때만 나올 수 있었다. 몸집이 제법 큰 한 커다란 앵무새는 부리로 종일 철장을 뜯고 있었다. 오픈 시각에 맞춰서 한 부자가 손을 잡고 앵무새 카페에 방문했다. 교육을 위해 자녀와 야생동물카페에 가는 부모들이 많다. 하지만 동물과 교감하는 방법보단 마음대로 소비하는 방법을 가르칠 뿐이다. 동물이 좁은 공간에 밀집 사육되고 인간과 접촉하며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하는 위험도 제기되고 있다.



KakaoTalk_20211129_135849684
대전의 한 동물원.
2018년 오월드에서 퓨마가 탈출하며 동물복지 문제가 제기됐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동물을 가둬놓고 소비하고 있었다. 오월드에서 동물이 탈출한 일은 퓨마뿐만이 아니다. 2002년 개원 당시 사바나 원숭이가 탈출했고, 2008년에는 열대지방에 사는 왈라루가 온실 사육장을 탈출해 인근 산에서 얼어 죽은 채 발견됐다. 같은 해에는 재규어가 탈출을 시도했다가 포획됐다. 동정여론은 잠시 어린 자녀와 함께한 가족들 다수가 동물원을 찾았다. 기자가 직접 동물원을 방문해보니 우리 안에 있는 일부 동물들은 무기력하게 누워있거나 좁은 공간에서 빙글빙글 돌고 있었다. 한 자리를 맴돌거나 같은 지점을 계속 왔다 갔다 하는 반복 행동, 자신의 배설물을 먹거나 털을 뽑는 등의 자기 학대 행위, 온 종일 누워서 잠만 자는 무기력한 행동은 동물원이라는 공간이 낳은 이상행동으로, '정형행동(stereotyped behaviour)'이라고 한다.

KakaoTalk_20211129_135617757
대전 신세계 백화점 아쿠아리움.
지난해 사람과 동물 모두가 행복한 동물원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주요 내용은 동물원 등록제를 허가제로 전환, 야생동물카페 등 전면금지, 질병·공중보건, 안전관리 체계 구축, 생물 다양성 보전·연구·교육 기관의 역할 강화, 동물 사육·수의 이력 전산화·공유, 국내외 협력 강화 및 거점동물원 구축·운영이다.

동물권 행동단체 카라는 "좁고 열악한 사육환경 뿐 아니라 스스로의 의지로 쉬거나 사람의 손길을 피할 공간조차 주어지지 않아 동물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라며 "이로 인해 정형행동이나 자해 등 정신적 질환을 보이는 개체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이라고 했다. 이어 "누구나 돈만 내면 생명을 내 마음대로 만지고 관찰할 수 있는 경험을 한 아이들이 생명을 존중하는 가치관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