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수질 보호철책 무단 개방했나’…1년 내내 시름하고 있는 ‘영동 물한계곡’

  • 전국
  • 충북

‘누가, 수질 보호철책 무단 개방했나’…1년 내내 시름하고 있는 ‘영동 물한계곡’

‘영동 물한계곡의 눈물’…무단 천막설치부터 단풍철 생뚱맞은 임산금지까지
공용주차장 바닥에 구멍 뚫기(?), 무단 천막설치 등 갈등…지쳐가는 물한계곡 주민들
주민들, “영동군은 왜, 먼 산만 바라보나, 지금이라도 관리해야”

  • 승인 2023-09-26 22:28
  • 수정 2023-09-26 22:44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KakaoTalk_20230926_170156155
'누가 무단으로 철책을 개방했나'...영동 물한계곡의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철책'이 누군가에 의해 무단으로 개방됐다.일부 관광객들은 개방된 철책으로 들어가 비양심 행동을 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충북 영동군 상촌면 물한계곡 곳곳이 1년 내내 시름하고 있다. 물한계곡은 봄엔 꽃이 예쁘고, 여름엔 물이 맑고, 가을엔 단풍이 멋있게 물들고, 겨울엔 눈꽃 정원이 펼쳐져 사계절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그러나 등산객 등 일부 관광객들 때문에 물한계곡의 청정 계곡은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여름, 계곡 인근의 나무로 지어진 오두막은 캠핑객들로 인해 오두막 바닥이 태워졌다. 또 계곡 내에서 삼겹살 파티와 머리감기 등 일부 관광객들의 무질서도 난무했다. 여름 피서객이 지나가고 단풍철이 다가왔지만 물한계곡은 비양심 관광객들로 인해 또다시 몸살을 앓고 있다. 계곡 인근 주민들은 비양심 관광객들과 사계절 내내 갈등을 겪고 있다. 등산로 입구에 갑자기 내걸린 생뚱맞은 '입산금지' 플래카드는 주민들을 더욱 지치게 하고 있다. 특히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철책'은 누군가에 의해 무단으로 개방됐다. 또 공용으로 써야할 주차공간은 비양심 등산 단체에 의해 바닥이 뚫릴 뻔 했고, '그들만의 천막'도 설치될 뻔 했다. 현재 물한계곡은 붉은 단풍으로 조금씩 물들어가고 있지만 일부 관광객들의 비양심적인 행동은 더욱 과감해 지고 있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30926_170029190_02
영동군이 출입금지 철책을 설치하기 위해 쇠줄로 소나무를 묶어놨다. 소나무는 쇠줄에 조여 결국 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출입금지인데'…누가 '출입금지 철책' 개방했나?



영동 물한계곡 가장 위인 상류지역에서 민주지산 옥소폭포까지 약 1.8km가량 '수질 보호 철책'이 쳐졌있다. 철책 설치는 자연생태 보전과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철책 내 계곡은 수질이 좋고 자연생태가 탁월해 주민들의 요청에 의해 영동군이 설치했다. 그러나 관광객들은 개방된 출입금지 철책 안으로 들어갔다. 계곡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주말, 일부 단체 관광객들은 출입금지인 철책 안으로 들어가 음식물을 섭취했다. 철책은 물한계곡 상류지역 1.8km 구간에 설치됐다. 3곳의 철책 출입구가 있다. 그런데, 이 철책 3곳이 어는 순간, 모두 개방됐다. 철책이 개방되면서 일부 등산객들이 철책 안으로 들어갔고, 그곳에서 비양심적인 행동을 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입니다. 이 철책은 언제, 어떻게, 누가 개방했는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주민들은 영동군이 개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물한계곡 인근 주민 A 씨는 "물한계곡 상류지역은 자연생태가 좋아서 영동군에 철책 등으로 보호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철책은 설치됐지만 누군가 철책을 무단으로 개방했고, 개방된 철책 안에서 일부 등산객들의 음식 섭취 등 무질서가 난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30925_154413723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인근 마련된 '공용 주차장'...일부 관광객이 공용 주차장에서 천막을 치고 취사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공용주차장 바닥에 구멍 뚫기(?)와 천막설치…주민과 등산객 '갈등'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큰 공터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용주차장이다. 공용주차장은 관광버스 2~30여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등산객들은 공용주차장에서 차량을 주차한 뒤, 물한계곡을 따라 민주지산과 삼도봉 등산을 즐기고 있다. 그런데 지난 주말, 일부 등산객들은 공용주차장에서 '그들만의 공간'을 만들다가, 주민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들은 공용주차장 내에서 큰 천막을 설치했다. 또 천막을 고정하기 위해 바닥에 구멍까지 뚫다가 주민들과 다투기도 했다. 이들 관광객들은 '공용 주차장이기 때문에 천막 설치가 안 된다'는 주민 말을 듣고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 B 씨는 "천막을 설치한 뒤, 출장뷔페까지 부르려고 한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또 "물한계곡 공용주차장 관리가 얼마나 안 되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며 "영동군은 지금이라고 전문 인력을 확보해 공용 주차장뿐만 아니라 물한계곡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230926_170130452
영동 물한계곡 민주지산과 삼도봉으로 향하는 시작점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걸려있다.<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단풍철인데, 생뚱맞은 '임산금지'는 왜 하나"…지쳐가는 상촌면 주민들

현재 물한계곡 인근 산인 민주지산과 삼도봉은 울긋불긋 단풍으로 물들어가며 관광객 맞을 채비를 하고 있다. 물한 계곡 인근 주민들은 해마다 '단풍 시즌'을 손꼽아 기다렸다. 주민들은 계곡 인근에서 식당과 민박 등으로 생계를 유지해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은 갑자기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려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입산로 시작점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리다보니, 등산객들의 발걸음은 머뭇거리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한 사찰은 등산로 시작점이다. 이 사찰 입구를 지나야 민주지산이나 삼도봉을 오를 수 있다. 그러나 사찰 입구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플레카드 내용만 본다면 '입산을 하지 말아라'는 내용이고, 또 '민주지산이나 삼도봉을 오르지 말라'라는 얘기와 같다. 본격적인 버섯 철부터 이런 플래카드가 내걸렸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영동군 등이 민주지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송이버섯과 능이버섯 등을 보호하기 위해 플래카드를 걸었다는 게 주민들의 견해다. 물한계곡 인근 주민들은 가을 등산객의 입산금지로 상권에 타격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 C 씨는 "수질보호 등을 위한 철책은 열어서 무질서한 관광객들은 단속하지 않고, 단풍철인데 '입산'을 금지하는 것은 어떤 속내냐"며 "영동군이 그때, 그때 '땜빵식 행정'을 펼치다보니, 스텝이 꼬이고, 꼬인 스텝은 주민들에게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2.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3.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4.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5. '대덕특구 사이언스센터' 딥테크 혁신성장 허브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충남에서 치사율 100%(급성형)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충남도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양돈농가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이동 제한 등 긴급 차단 방역에 돌입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당진시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했다. 농장주는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에 대한 ASF검사를 진행, 이날 오전8시 양성 판정을 내렸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