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수질 보호철책 무단 개방했나’…1년 내내 시름하고 있는 ‘영동 물한계곡’

  • 전국
  • 충북

‘누가, 수질 보호철책 무단 개방했나’…1년 내내 시름하고 있는 ‘영동 물한계곡’

‘영동 물한계곡의 눈물’…무단 천막설치부터 단풍철 생뚱맞은 임산금지까지
공용주차장 바닥에 구멍 뚫기(?), 무단 천막설치 등 갈등…지쳐가는 물한계곡 주민들
주민들, “영동군은 왜, 먼 산만 바라보나, 지금이라도 관리해야”

  • 승인 2023-09-26 22:28
  • 수정 2023-09-26 22:44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KakaoTalk_20230926_170156155
'누가 무단으로 철책을 개방했나'...영동 물한계곡의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철책'이 누군가에 의해 무단으로 개방됐다.일부 관광객들은 개방된 철책으로 들어가 비양심 행동을 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충북 영동군 상촌면 물한계곡 곳곳이 1년 내내 시름하고 있다. 물한계곡은 봄엔 꽃이 예쁘고, 여름엔 물이 맑고, 가을엔 단풍이 멋있게 물들고, 겨울엔 눈꽃 정원이 펼쳐져 사계절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그러나 등산객 등 일부 관광객들 때문에 물한계곡의 청정 계곡은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여름, 계곡 인근의 나무로 지어진 오두막은 캠핑객들로 인해 오두막 바닥이 태워졌다. 또 계곡 내에서 삼겹살 파티와 머리감기 등 일부 관광객들의 무질서도 난무했다. 여름 피서객이 지나가고 단풍철이 다가왔지만 물한계곡은 비양심 관광객들로 인해 또다시 몸살을 앓고 있다. 계곡 인근 주민들은 비양심 관광객들과 사계절 내내 갈등을 겪고 있다. 등산로 입구에 갑자기 내걸린 생뚱맞은 '입산금지' 플래카드는 주민들을 더욱 지치게 하고 있다. 특히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철책'은 누군가에 의해 무단으로 개방됐다. 또 공용으로 써야할 주차공간은 비양심 등산 단체에 의해 바닥이 뚫릴 뻔 했고, '그들만의 천막'도 설치될 뻔 했다. 현재 물한계곡은 붉은 단풍으로 조금씩 물들어가고 있지만 일부 관광객들의 비양심적인 행동은 더욱 과감해 지고 있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30926_170029190_02
영동군이 출입금지 철책을 설치하기 위해 쇠줄로 소나무를 묶어놨다. 소나무는 쇠줄에 조여 결국 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출입금지인데'…누가 '출입금지 철책' 개방했나?



영동 물한계곡 가장 위인 상류지역에서 민주지산 옥소폭포까지 약 1.8km가량 '수질 보호 철책'이 쳐졌있다. 철책 설치는 자연생태 보전과 깨끗한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철책 내 계곡은 수질이 좋고 자연생태가 탁월해 주민들의 요청에 의해 영동군이 설치했다. 그러나 관광객들은 개방된 출입금지 철책 안으로 들어갔다. 계곡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주말, 일부 단체 관광객들은 출입금지인 철책 안으로 들어가 음식물을 섭취했다. 철책은 물한계곡 상류지역 1.8km 구간에 설치됐다. 3곳의 철책 출입구가 있다. 그런데, 이 철책 3곳이 어는 순간, 모두 개방됐다. 철책이 개방되면서 일부 등산객들이 철책 안으로 들어갔고, 그곳에서 비양심적인 행동을 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입니다. 이 철책은 언제, 어떻게, 누가 개방했는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주민들은 영동군이 개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물한계곡 인근 주민 A 씨는 "물한계곡 상류지역은 자연생태가 좋아서 영동군에 철책 등으로 보호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철책은 설치됐지만 누군가 철책을 무단으로 개방했고, 개방된 철책 안에서 일부 등산객들의 음식 섭취 등 무질서가 난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30925_154413723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인근 마련된 '공용 주차장'...일부 관광객이 공용 주차장에서 천막을 치고 취사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공용주차장 바닥에 구멍 뚫기(?)와 천막설치…주민과 등산객 '갈등'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큰 공터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용주차장이다. 공용주차장은 관광버스 2~30여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등산객들은 공용주차장에서 차량을 주차한 뒤, 물한계곡을 따라 민주지산과 삼도봉 등산을 즐기고 있다. 그런데 지난 주말, 일부 등산객들은 공용주차장에서 '그들만의 공간'을 만들다가, 주민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들은 공용주차장 내에서 큰 천막을 설치했다. 또 천막을 고정하기 위해 바닥에 구멍까지 뚫다가 주민들과 다투기도 했다. 이들 관광객들은 '공용 주차장이기 때문에 천막 설치가 안 된다'는 주민 말을 듣고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 B 씨는 "천막을 설치한 뒤, 출장뷔페까지 부르려고 한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또 "물한계곡 공용주차장 관리가 얼마나 안 되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며 "영동군은 지금이라고 전문 인력을 확보해 공용 주차장뿐만 아니라 물한계곡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230926_170130452
영동 물한계곡 민주지산과 삼도봉으로 향하는 시작점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걸려있다.<사진제공: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단풍철인데, 생뚱맞은 '임산금지'는 왜 하나"…지쳐가는 상촌면 주민들

현재 물한계곡 인근 산인 민주지산과 삼도봉은 울긋불긋 단풍으로 물들어가며 관광객 맞을 채비를 하고 있다. 물한 계곡 인근 주민들은 해마다 '단풍 시즌'을 손꼽아 기다렸다. 주민들은 계곡 인근에서 식당과 민박 등으로 생계를 유지해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은 갑자기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려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입산로 시작점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리다보니, 등산객들의 발걸음은 머뭇거리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영동 물한계곡 상류지역 한 사찰은 등산로 시작점이다. 이 사찰 입구를 지나야 민주지산이나 삼도봉을 오를 수 있다. 그러나 사찰 입구에 입산금지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플레카드 내용만 본다면 '입산을 하지 말아라'는 내용이고, 또 '민주지산이나 삼도봉을 오르지 말라'라는 얘기와 같다. 본격적인 버섯 철부터 이런 플래카드가 내걸렸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영동군 등이 민주지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송이버섯과 능이버섯 등을 보호하기 위해 플래카드를 걸었다는 게 주민들의 견해다. 물한계곡 인근 주민들은 가을 등산객의 입산금지로 상권에 타격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 C 씨는 "수질보호 등을 위한 철책은 열어서 무질서한 관광객들은 단속하지 않고, 단풍철인데 '입산'을 금지하는 것은 어떤 속내냐"며 "영동군이 그때, 그때 '땜빵식 행정'을 펼치다보니, 스텝이 꼬이고, 꼬인 스텝은 주민들에게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