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성군 세종을 기리며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성군 세종을 기리며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 승인 2023-10-29 09:26
  • 수정 2023-10-29 09:32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3333
백낙천 교수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을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 중에서 많은 사람은 세종대왕을 첫손에 꼽을 것이다. 세종은 천성이 어질고 부지런하였으며, 과단성이 있으면서도 신중한 성품을 지녔다. 또한 학문을 좋아하고 취미와 재능이 뛰어나서 여러 가지 방면에 통하지 않는 것이 없을 만큼 총명하여 한국 역사상 문화의 황금시대를 이룩한 성군으로 존경받는 임금이다.

세종은 1397년 조선의 3대 임금인 태종(이방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418년에 태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1450년에 승하할 때까지 33년 동안 재위하였다. 세종은 장영실 등 과학자들을 독려하여 측우기를 비롯하여 혼천의, 앙부일구 등 많은 과학기구를 발명케 했으며, '농사직설'과 '세종실록지리지' 등 국가의 경제 활동에 꼭 필요한 서적들도 많이 만들어 냈다.

또한 박연으로 하여금 새로운 악기를 만들고 궁중 음악인 아악을 정리하게 한 것도 학문과 예술에 대한 세종의 남다른 열정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국방에서는 최윤덕, 김종서 등을 앞세워 압록강 주변에 4군을 설치하고 두만강 주변에는 6진을 개척했고, 이종무를 통해 대마도 지역의 왜구들을 무찌르는 등 국방을 튼튼히 하는 등 영토 확장에 힘썼다. 또한, 고려 인종 때 만들어진 학문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확장하여 국가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니, 세종은 집현전을 국가의 '싱크탱크'로 삼아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최항 등의 인재를 양성하고 서적을 편찬하여 집현전을 학문과 정책 수립의 장(場)으로 정립하였다.

한편 세종은 개인적으로 불행한 일도 많이 겪었던 임금이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이듬해인 1444년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을 잃고 1445년에는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을 잃었다. 더욱이 처족(妻族)인 소헌왕후 가문이 부왕인 태종에 의해 풍비박산되었으며,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6개월 전인 1446년 음력 3월에는 아내인 소헌왕후마저 잃은 안타까운 가족사를 가슴에 묻고 산 임금이기도 하였다.



세종은 '맹자'에 나오는 '발정시인(發政施仁)'을 통치의 근간으로 삼아 백성을 사랑하고 어짊을 베풀어 백성의 어려운 생활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신하들과 토론을 통해 국가 정책의 중요한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백성을 본위로 한 왕도정치를 베풀었다. 무엇보다 세종은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 인재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재상 허조를 곁에 두고 국가 경영을 담당할 인재 시스템 관리를 촘촘하게 펼쳐 나갔다. 이러한 유교 국가의 체계를 세우는 데에 있어서 시급한 국가 과제 중 하나는 백성을 교화하고 아름다운 풍속을 만드는 일이었다.

그런데 1428년(세종 10)에 진주의 김화라는 사람이 아버지를 살해한 사건이 일어나자, 세종은 효행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서적을 펴내 백성들에게 읽히고자 군신·부자·부부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 각 35명씩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함께 기록한 '삼강행실도'의 간행을 명하여 1434년 편찬하였다. 물론 '삼강행실도'는 세종의 통치 철학을 반영한 결과이지만 한문으로 편찬하여 당시 백성들이 읽을 수가 없다 보니 효자, 충신, 열녀의 교훈을 전달하고 이해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온 세종의 역작이 훈민정음 곧 한글의 창제이다. 즉, 세종은 한글을 만들어 백성들이 깨우쳐 알게 되고 '삼강행실도'를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하면 효자, 충신, 열녀의 이야기를 통해 교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즉, 한글의 창제는 학문 정진에 힘을 쏟은 결과이며, 세종의 업적 가운데 최고 정점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세종은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았고, 문화를 숭상하여 백성의 교화에 힘썼으며, 국방을 강화하여 나라의 평안을 꾀하였고, 널리 인재를 양성하고 등용하여 국가의 정책 비전을 구현하였으며, 경연(經筵)을 국가 통치의 공론장으로 삼아 어진 정치를 펼친 위대한 성군이었다. 한글 반포 577돌을 맞아 성군 세종을 기리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지는 10월의 어느 날이다.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3. 세종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건립안 확정...2027년 완공
  4.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5.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1.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 교원들 "출결 민원 끊이지 않아"
  2. 대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이장우 "법 어길 수 없다" 중앙로 지하상가 강경입장
  3. 감스트,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서 팬사인회… 인파 몰려 인기실감
  4. 민주평통 유성구협의회, 백두산 현장견학…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서"
  5. [사설] 불법 홀덤펍, 지역에 발붙여선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