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대전의 명당보다 세상의 빛, '명당 대전'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대전의 명당보다 세상의 빛, '명당 대전'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 승인 2024-01-07 09:21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김덕균
김덕균 단장
용의 해다. 용은 존엄하고 귀한 존재이다. 그래서 용꿈이라도 꾸면 최고의 복을 받은 것처럼 즐거워한다. 새해라서 용과 관련된 덕담도 넘쳐난다. 어차피 용은 상상의 동물이니 맘껏 얘기한들 틀릴 것도 없다. 그런데 대전에는 유난히 용자가 들어간 지명이 많다. 또 그 용이 들어간 지역은 대개가 명당이라 말한다. 그곳에서 어떤 인물이 나왔는지도 덧붙인다.

결국 대전은 명당이 많은 도시다. 이때 명당은 지형 조건에 따른 풍수상의 명당이다. 풍수 명당은 적당한 바람과 물이 어우러진 공간이다. 적당한 물과 바람은 대개가 높지 않은 산과 구릉 지대에 만들어진다. 시내 곳곳을 흐르는 갑천, 유등천, 대전천과 어우러진 야트막한 산들의 조화가 대전의 곳곳을 명당으로 만들었다. 대전에 태풍 홍수와도 같은 물과 바람으로 인한 자연 재해가 많지 않은 것도 대전이 명당이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그런데 그런 명당의 자연적 조건은 기후와 직결된다. 우리나라는 사시사철이 분명한 전형적인 냉온대 기후에 속한다. 여름철은 열대기후만큼 덥고, 겨울철은 냉한대 기후만큼 춥다. 그래서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곳이 삶의 최적지이고, 거기가 바로 명당이다. 겨울에는 매서운 북서풍을 피할 수 있고,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더위를 피하고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어야 명당이다. 그런 최적의 공간은 대개가 배산임수의 지형이다. 뒤로 산이 있고 앞으로 물이 있는 형태이다. 대전에 명당이 많은 것은 적절한 산과 물이 잘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궁금한 점. 명당에서 인물이 날까 아니면 인물이 나서 명당일까. 인물이 나서 명당이란 말이 그럴 듯 하지만 정답은 아니다. 보통 명당에서 인물이 난다는 게 명당론의 기본이다. 목숨 걸고 명당을 차지하려고 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렇게 명당에서 인물 난다는 속설은 틀리지 않다. 그럴 수밖에 없는 정치 사회적, 지리 자연적 조건 때문이다. 사시가 분명한 지리 자연적 조건과 농경 신분 사회라는 정치 사회적 조건을 살핀다면 정답이 나온다. 냉온대 기후조건 속에서 찾아진 살기 좋은 곳은 이미 정해져 있다.



이제 여기를 누가 차지하는가의 정치 사회적 문제이다. 농경사회는 정착사회이고 신분 사회는 계급사회이다. 정치 사회적 기득권층이 살기 좋은 땅을 먼저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신분 높은 사람이 명당을 차지하고 그곳에서 대대로 맥을 이어가며 누리기 좋은 구조이다. 그런 좋은 곳을 선점한 이들이 그렇지 못한 이들과 비교해서 좀더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건 당연지사다. 사회적 진출 기회도 많다. 개천에 용 날 가능성이 희박해질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명당의 본래 의미이다. 명당(明堂)이란 글자 그대로 세상을 밝혀주는 집이다. 옛날엔 천자가 살던 궁궐을 명당이라 했다. 정치와 교화로 세상을 밝혀주는 기능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윤리를 밝혀주는 곳을 명륜당이라 했다. 학교도 명당이 되는 까닭이다. 이렇듯 명당은 하는 일과 기능에서 나왔다. 관공서나 학교, 종교기관이 사회적 횃불 역할을 한다면 모두가 명당이다. 아무리 어두컴컴한 지하 공간에 있을지라도 그곳에서 세상을 밝혀주는 일을 한다면 최고의 명당이다. 본래 명당의 의미에는 자연 지형에 따른 풍수 개념은 없었다. 명당론에 자연 풍수론이 가미된 것은 훗날 얘기이다.

그런 점에서 대전에는 세상을 밝혀주는 명당이 곳곳에 있다. 중앙에는 시민들의 삶을 편안하게 해주는 시청과 정부 청사 등 관공서가 있고, 북쪽으로는 대한민국 국민의 삶과 품격을 높여주는 국가급 연구단지와 대학들이 있고, 남쪽으로는 한국인의 따스한 정과 풍요로운 정신을 선양하는 효 관련 기관들이 집중되어 있다. 모두가 대전과 대한민국을 빛내고 밝혀주는 공간들이니 명당 중의 명당이다. 용이라는 상서로운 동물 이름이 들어가서, 또 온갖 풍수상의 지형 조건이 맞아서 대전에 명당이 많다는 것보다는, 세상의 빛이 되어 명당의 기능과 역할을 잘 감당하는 '명당 대전'이 더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3.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 교원들 "출결 민원 끊이지 않아"
  1. 대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이장우 "법 어길 수 없다" 중앙로 지하상가 강경입장
  2. 감스트,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서 팬사인회… 인파 몰려 인기실감
  3. 세종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건립안 확정...2027년 완공
  4. 민주평통 유성구협의회, 백두산 현장견학…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서"
  5. [사설] 불법 홀덤펍, 지역에 발붙여선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