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장소기반 교육’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장소기반 교육’

권선필 목원대학교 경찰행정학부 교수

  • 승인 2024-05-01 12:05
  • 신문게재 2024-05-02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권선필 교수
권선필 교수
대전의 인구는 2013년 153만의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면서 150만 선이 무너지고 이제는 조만간에 140만 선도 무너질 것으로 예측된다. 단순하게 인구감소만을 볼 게 아니라,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조금 더 심각한 흐름이 있는데 바로 청년 인구 유출이다.

사망으로 인한 인구감소보다, 더 심각한 인구 유출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자리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난다. 대전에서 빠져나가는 인구는 주로 청년들이고, 그 이유가 바로 일자리 때문이라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5~39세 대전으로 전입한 청년은 1만 1026명인데 전출한 수는 1만 473명으로 553명이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숫자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문제의 핵심이 드러난다. 즉, 대학에 재학하는 15~24세 인구는 1927명의 순유입을 보이지만,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하는 연령대인 25~39세는 1374명의 순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5~39세 인구는 2015년 이래 약간의 감소세는 지속하고 있다. 이렇게 대학을 졸업한 이후에 지역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에서 대학을 다닌 청년들의 일자리를 어떻게 늘릴 수 있을까? 그동안 일자리를 만들어서 지역에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우선하여 추진해왔다. 특히 첨단 산업이나 국책사업과 연계한 일자리를 만들려고 노력해왔다. 대학에서도 주로 기술발전에 대응해서 첨단기술을 가르쳐서 경쟁력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문제는 이렇게 첨단 산업이나 생산성 향상 혹은 경쟁력을 키워서 일자리를 얻게 하는 접근 자체가 지역에서 청년들이 떠나도록 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깨닫고 새로운 접근을 생각해야 한다.

중고등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의 학생들이 지역을 떠나 서울로 간다. 서울에 있는 대학에 진학한 우리 자녀들이 다시 지역에 돌아올 확률은 얼마나 될까? 그동안의 경험으로 보면 거의 돌아오지 않고 수도권에 정착했다. 과학기술 명문대학인 카이스트에 전국의 수재들이 몰리지만, 이들 중에 대전이나 충청권에 남는 숫자가 얼마나 될까? 대덕 연구단지에 일부 남지만, 특히 기업 쪽은 전부 수도권으로 취업해서 떠난다.

지역 대학에서 공부한 청년들이 지역에 남도록 하는 방법이 무엇일까? 지금처럼 열심히 전공 공부시키고 취업 교육해서 능력을 키우면 키울수록 지역을 떠난 가능성이 커진다. 수도권에 더 많은 일자리가, 더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쟁력을 키워주면 키워줄수록, 수도권으로 떠날 것이고, 더 실력이 있으면 이 나라를 떠나 해외로 취업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지역의 청년들이 떠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추세를 바꾸는 방법은 경쟁력을 높이는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을 알고 이해하며, 지역과 더 깊은 관계를 맺도록 해주는 '지역기반 교육(place-based education)'이 필요하다.

교육은 미래를 준비하는 핵심 요소다. 그러나 교육을 단순히 교실 안에서 전문성이나 직업능력을 키우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문화적 특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바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핵심이 될 수 있다.

장소기반 교육은 지역을 교육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반영해 교육하는 방식이다.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교육에 활용하면 학생들이 더욱 현실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일자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직접 경험하게 해줄 수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과 아울러 협업 능력을 배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와 함께 교육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 경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이 지역사회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지를 알게 되고, 그것이 새로운 일자리가 되는 창업 과정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장소기반 교육은 지역과 연계하여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뿐만 아니라, 인구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권선필 목원대학교 경찰행정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0시 축제 기간, 시내버스 29개 노선 우회 운행한다
  2. [날씨] 주말까지 찜통더위…강한 소나기 내리는 곳도
  3.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대전의 문화예술,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
  4. 세종-청주 광역버스 8월 3일부터 운행 시작
  5. 굿네이버스 충남지부, 2024년 좋은이웃 후원회 위촉식 진행
  1. '벼랑 끝 승부'…대전하나시티즌, 27일 대구FC와 격돌
  2. 농진청, 대규모 논콩 생산단지 재배 안정화 도모
  3. 순천향대천안병원,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4. 대전 신탄진변전소 화재… 1만 3242세대 정전 불편
  5. 연암대, (사)스마트치유산업포럼과 MOU

헤드라인 뉴스


대전 0시 축제 기간, 시내버스 29개 노선 우회 운행한다

대전 0시 축제 기간, 시내버스 29개 노선 우회 운행한다

대전시는 8월 7일부터 '대전 0시 축제' 행사 관계로 대전역에서 옛 충남도청 구간 중앙로와 대종로 일부 구간의 차량 통행이 전면 통제됨에 따라 이 구간을 통과하는 시내버스 노선을 우회 운행 조치한다고 26일 밝혔다. 우회하는 버스는 급행1·2·4번, 101번, 103번 등 통제 구간을 경유하는 29개 노선 365대다. 이들 버스는 오는 8월 7일 첫차부터 17일 막차까지 대흥로·우암로 등으로 우회하게 된다. 시는 버스 우회로 인한 이용객 불편을 줄이기 위해 노선별 임시 승강장을 별도로 마련하고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를 통해 버..

윤석열 대통령 “진정한 지방시대를 여는 것이 저출생 극복의 길”
윤석열 대통령 “진정한 지방시대를 여는 것이 저출생 극복의 길”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진정한 지방시대를 여는 것이 저출생 극복의 길”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방에 과감한 권한 이양과 재정 지원의 필요성을 언급했으며, 특히 외국인의 정착과 경제활동을 위한 지원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충남 내포신도시에 있는 충남도청에서 제7차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인구 문제는 지금 대한민국이 당면한 도전 중 가장 큰 도전”이라며 “저출생 고령화와 수도권 집중 현상이 맞물리면서 지역 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청년들은 출산은 고사하고 결혼도 꿈꾸기..

대전 기성동, 부여·금산, 보령 주산·미산면, 옥천 등 11곳 특별재난지역 선포
대전 기성동, 부여·금산, 보령 주산·미산면, 옥천 등 11곳 특별재난지역 선포

집중 호우에 막대한 피해를 입은 충남 금산군과 부여군, 충북 옥천군과 전북 익산, 경북 안동 등 11곳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됐다. 대전 서구 기성동과 충남 보령시 주산면·미산면, 전북 군산시 성산면·나포면, 전북 무주군 무주읍·설천면·부남면, 경북 김천시 봉산면, 경북 영양군 청기면 등 10개 읍면동도 포함됐다. 대통령실 대변인은 25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관계부처의 전수 정밀조사 결과를 반영해 11곳을 추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고 전했다. 앞서 7월 15일 충남 논산시와 서천군, 충북 영동군, 전북 완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모처럼 맑은 하늘 모처럼 맑은 하늘

  • ‘여름 휴가는 대전으로’…대전 0시 축제 자원봉사 발대식 ‘여름 휴가는 대전으로’…대전 0시 축제 자원봉사 발대식

  • ‘새소리와 함께 책 속으로’…숲속의 문고 개장 ‘새소리와 함께 책 속으로’…숲속의 문고 개장

  • ‘여름이 즐겁다’…도심 속 물놀이장 속속 오픈 ‘여름이 즐겁다’…도심 속 물놀이장 속속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