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가보니...세종 국제정원박람회 미래는

  • 정치/행정
  • 세종

[시리즈]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가보니...세종 국제정원박람회 미래는

울산, 죽음→생명의 강으로 만든 기적...2019년 국가정원 승인으로 새 출발
2028 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 정조준...순천만의 화려함 대신 '자연주의' 눈길
후발 주자인 세종시, 2026 국제정원박람회 예고...잠재력 이면의 숙제 노출

  • 승인 2024-05-28 13:50
  • 수정 2024-05-29 16:35
  • 신문게재 2024-05-29 1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10
태화강 국가정원 입구의 분수대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은 '전남 순천만(2015년 1호)'과 '울산 태화강(2019년 2호)'에 이어 미래 국가정원 대열에 들어서고, 정원 관광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연평균 1000만 명 안팎의 방문객으로 전 세계적 명소가 된 싱가포르 '가든스바이더베이(2012년)'도 넘어서야 할 대상이다.

중도일보는 울산 태화강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 사례 조명을 통해 중앙녹지공간과 금강에 접목할 요소들을 찾아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가보니...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미래는



2. 죽음의 '6급수'에서 생명의 '1급수'로 탈바꿈한 태화강이 금강에 말하다

3. '순천만+태화강' 장점,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으로...사회적 합의 관건

태화강 국가정원은 순천만 정원의 화려함과는 또 다른 '자연주의' 매력을 뽐내며 방문객의 발길을 잡아끌고 있다. 기자가 2023년 5월 순천만에 이어 2024년 5월 태화강 현장을 직접 가본 뒤 느낀 소감이다.

국내 유일의 국가정원 2곳(1~2호)의 장점을 잘 접목한다면,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은 이보다 한층 더 매력적인 힐링·관광 명소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은 2026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울산은 2028 국제정원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있는 만큼, 양 지역 핵심 공간의 비교 분석이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본다.

태화강 국가정원은 세종시 중앙공원 2단계(약 88만㎡)보다 조금 작은 83만 5000㎡ 규모로, 태화지구와 삼호지구로 구분된다.

지방정원부터 국가정원까지 도약을 노크하고 있는 중앙녹지공간과 대조해보면, ▲태화강↔금강 ▲강을 가로지르는 은하수 다리와 십리대밭교↔세종시 이응다리 ▲이용형 태화지구(48만㎡)↔중앙공원 1단계(52만㎡) ▲보존형 삼호지구(35만㎡)↔금개구리 보전구역(중앙공원2단계 86만㎡) ▲주차 면수 : 울산 2800면↔세종 2500면 ▲2023년 방문객 : 울산 500만 명↔호수·중앙공원 및 수목원 400여만 명으로 요약된다.

태화강 정원을 다시 세분화하면, 삼호지구는 조류생태원과 은행나무 정원, 잔디원, 보라정원, 태화강 전망대를 갖추고, 야생 조류부터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생태지구다. 태화지구는 생태와 대나무, 계절, 수생, 참여, 무궁화 등 모두 6개 주제에 걸쳐 20개 정원을 보유한 핵심 공간이다. 일명 은하수길로 통하는 십리대숲이 최고 명소로 꼽히고, 아시아 최초의 피트 아우돌프 '자연주의 정원'도 서서히 본색을 드러내며 방문객의 발길을 끌고 있다. 대나무 숲이 드리운 그늘 아래 펼쳐진 1km 맨발 어싱길도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구간이다.

기업의 사회공헌 유도도 참고할 대목이다. NK경남은행, 울산농협, SK에너지㈜, S-OIL㈜, LS-니꼬동제련㈜, ㈜비아이티 등은 백리대숲길부터 자연주의 정원 등의 조성에 힘을 보탰다. 세종시에선 중앙공원 내 '네이버(NAVER) 정원' 탄생이 주목되는 부분이다.

태화강 정원이 다시 날아오를 기회는 더 있다. 시선은 2021년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를 찍고, 2028년 울산 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로 향하고 있다. 이는 태화강에서 울산의 기적으로 나아가며 도시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이를 위해 2024년 울산정원지원센터 완공(100억 원)에 이어 2025년 남산 문화광장(295억 원) 조성으로 볼거리를 보다 확대한다.

울산시는 국가정원부터 삼산·여천매립장(숲으로 변화), 남산로 일원을 2028 박람회 구역으로 삼고, 오는 9월 순천만과 같은 세계원예생산자협회(AIPH) 승인, 11월 정부의 국제행사 승인을 연이어 신청할 계획이다. 이후 로드맵은 2026년 박람회 조직위 구성과 2027년 행사장 착공에 있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지역의 민관정은 태화강을 죽음의 강(6급수)에서 생명의 강(1급수)으로 다시 만들었다. 국가정원은 이 같은 사회적 참여와 땀의 결실로 탄생한 선물"이라며 "2028 국제정원박람회도 차별화된 모습으로 전 세계인에 다가설 것으로 기대한다. 김두겸 시장님과 시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성공 개최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지이용계획
2026 세종국제정원도시박람회의 주무대가 될 중앙녹지공간 구역도. 사진=세종시 제공.
사실상 후발 주자인 세종시는 2022년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에 이어 2026년 제1회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로터 국제행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면서, 하반기 국비 확대를 정조준하고 있다. 오는 9월 박람회 조직위 출범과 함께 충남 국제원예치유박람회와 연계 방안 마련이 급선무로 남아 있다. 울산시와 비교할 때도, 예산 규모와 준비 정도에서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 놓여 있다.

잠재력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앞서 확인한 것처럼, 중앙녹지공간의 면적 자체가 300만 평 규모의 뉴욕 센트럴파크와 버금가는 규모로 활용 가치가 크다. 여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한데 어우러지고 있는 게 최대 강점이다.

세계 최대 규모로 기네스북에 오른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은 '공중 정원', 호수공원과 중앙공원, 국립세종수목원은 '지상 정원', 금강은 '물빛 정원'으로써 가치를 분명히 내보이고 있다. △금강과 이응다리 △국립박물관단지 △대통령기록관 △미술관(유치 시동) △LH 세종 홍보관 △반다비 빙상장(2024년 개장) 등이 다양한 관람 욕구를 충족시켜줄 강점 요소들이다.

그럼에도 지역사회는 여전히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놓고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세종시가 세간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순천만과 태화강 못잖은 정원도시로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계속>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11
삼호지구와 태화지구, 태화강을 가로지르는 은하수 다리 모습(우측 상단)과 국가정원 일대.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04
태화강 국가정원은 순천만 정원의 화려함 대신 자연주의 정원을 지향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06
태화강 정원의 메인 코스로 꼽히는 십리대숲길(대나무숲).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14
태화강 국가정원 내부 순환 셔틀버스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07
태화강 국가정원에는 대나무숲 그늘이 있는 맨발 어싱길(1km)이 조성돼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5143510_02 (1)
순천만 국가정원의 동문 권역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5143510_08
지난해 5월 순천만 국가정원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4259217_04
순천만 국가정원을 오간 셔틀 차량.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5044295_04
2023년 5월 순천만 국가정원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04_212732618_05
2024년 3월 3.6km 전 구간 개방을 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2024051301000805700033451
세종시 금강과 이응다리 .사진=세종시 제공.
2024051601001115100046802
정원 관광의 전진기지가 될 국립세종수목원의 야경. 사진=한수정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당진시, 신규 공무원 임용식 개최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