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사도광산, 아픈 역사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사도광산, 아픈 역사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김재석 소설가

  • 승인 2024-07-29 17:10
  • 신문게재 2024-07-30 18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재석 소설가
김재석 소설가
지금 세계는 파리올림픽의 열기 속으로 빨려 들어가 있다. 첫날부터 태극전사들의 승전보가 날라들 정도로 한국은 세계 속에 스포츠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오늘이 있기까지 이 땅을 지켜낸 선조들의 피눈물 나는 역사 또한 잊을 수 없다. 그런데 올림픽 열기의 와중에 들려온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뉴스(7월27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는 아픈 역사의 한 파편을 끄집어내게 한다. 이웃나라의 세계유산 등재가 신경 쓰이는 이유는, 서양의 광산채굴기술을 도입하여 일본 메이지유신(근대화)을 이끈 보존가치가 높은 유산으로 일본인들은 평가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는 일제강점기 때 강제동원의 뼈아픈 역사가 쓰린 곳이다. 따지고 보면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이 강제징집되어 총알받이 전쟁터로, 군수물품제조공장으로, 위안부로, 광산채굴 막장까지 끌려가지 않은 곳이 어디 있겠는가!

2015년에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와 이번에 사도광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와 맞물러 오히려 우리에게 강제징용의 상징성을 띄게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아이러니하게 나는 강제징용의 한 현장이었던 군함도에 대해서 '군함도' 영화를 보고 알았다. 이번 사도광산도 유네스코 등재 추진과 관련하여 한국 방송국의 뉴스를 통해 접했다. 대부분의 한국인이 역사를 보는 방식이 그렇겠지만 사안이 있을 때 반짝 기억하고, 쉽게 잊어버린다. 아픈 역사를 기억해야할 만큼 마음에 여유도 없고, 과거의 망령을 들춰내어 곱씹는 것이 마음 아프고, 미래지향적이라고 보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그런 점에서 일본의 세계유산등재에 딴죽을 걸고 싶은 마음은 없다. 단지 기억하고 보존하는 일은 그들만의 문제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일본은 근대화를 이끈 유산에 대한 자부심과 지역관광자원으로 개발하려는 명분을 얻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다. 다른 나라에 상처준 역사도 유산의 일부로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다.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세계유산에 등재(1979년)될 때 가해국이었던 독일은 다시는 홀로코스트의 망령이 되풀이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죄의 마음으로 유산이 잘 보존되도록 지금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본은 독일과는 달리 일정시기의 역사는 자랑하면서 그 후 강제동원의 역사는 기억에서 지워버리려는 의도와 왜곡이 심하다. 조선인들이 스스로 돈 벌려고 왔지 강제동원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그들의 일관된 주장이기도 하다.

일제시기 때는 일본총독부가 조선사편수회를 만들어 자기들 입맛대로 한국역사를 왜곡해 놓은 것만 봐도 더 이상 말해서 뭐하겠는가! 더 아이러니한 것은 해방이 되어 주권도 찾고, 지금은 경제성장에서도 일본을 앞지를 정도로 한국은 발전했는데도 역사문제만큼은 일제의 잔재가 그대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한국 상고사의 단군 할아버지를 할아버지라고 제대로 부르지도 못한다.



뉴스에서는 한국 외교부가 강제동원의 역사를 기록에 남긴다는 약속을 받고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에서 만장일치에 합의해 주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일본의 약속은 지켜볼 일이지만 나는 적어도 한국위원은 반대표를 던져야 한다고 본다. 딴죽을 거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라는 것이다. 적어도 강제동원되어 희생된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를…. 윤석열 정권이 친일외교를 하더라도 이런 민족정신이 결여된 것은 아쉽지 않을 수 없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인 송기정 선수가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기미가요가 울려 펴지는 가운데 시상대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는 사진이 당시 식민지 한국인의 가슴에는 위로이자 한으로 남았다. 이제 한 세기가 지난 오늘, 역사인식에서 한국인은 더 당당하고 떳떳하게 가슴에 태극기를 휘날려야 한다. 파리올림픽에서 태극전사들의 선전을 기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4.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5.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헤드라인 뉴스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지연으로 실질적인 관세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 수출기업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인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를 갖고 관세·안보 협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세부 합의 내용은 거의 마무리됐으며, 팩트시트는 2~3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팩트시트는 발표되지 않았고 25%의..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