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의 캣맘(Cat Mom), 묘마마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의 캣맘(Cat Mom), 묘마마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09-25 14:59
  • 수정 2024-09-25 15: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반려동물 인구수 천만이 넘는 시대이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반려동물 'pet'과 가족 'family'의 합성어)'도 늘고 있다. 인간과 반려동물의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에는 곡식을 훔쳐먹는 쥐를 잡기 위해 고양이를 길렀다고 전해진다. 문헌 기록과 그림을 통해 선조들의 남다른 고양이 사랑을 엿볼 수 있다.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책묘(責猫, 고양이를 나무라다)」는 고양이에 대한 시이다. "감추어 둔 나의 고기를 훔쳐 배를 채우고, 천연스레 이불 속에 들어와 잠을 자구나. 쥐들이 날뛰는 게 누구의 책임이냐.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마구 다니네." 그의 시에서 고양이는 쥐를 잡기는커녕 말썽꾸러기로 묘사하였지만, 애정이 엿보인다.



조선후기 문인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이 작성한 백과사전『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고양이에 관한 항목이 있다. 지금의 '캣맘(고양이를 뜻하는 cat과 엄마를 뜻하는 mom의 합성어로 길거리와 들에서 살아가는 고양이의 사료를 정기적으로 챙겨주는 사람을 일컫는 말)' 격인 '묘마마(猫??)'가 언급된다. 기록 속 묘마마는 길고양이를 돌보면서 음식을 나눠주고 보살필 뿐만 아니라 손수 옷을 만들어 입혔다고 전해진다.

조선초기 학자이자 문인인 성현(成俔, 1439-1504)은 4년간 키우던 흰 고양이가 개 떼에 물려 죽자 슬픔에 젖어 제문(祭文)을 지었다. 그의 시문집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실린 ?예백묘문(?白?文, 흰 고양이를 묻어 주며)?의 일부이다. "…바른 색을 타고 났고, 용모는 흠이 없구나. 눈 같은 털 고결하고, 눈 같은 털 곱기도 하지…사람 위해 해악을 제거하였으니 그 공이 작지 않았지. 개가 사납게 짖어 대며 무리 지어 와서 속이는데, 너는 피할 줄을 모르고 이리저리 따라 다니다가 마침내 물리는 횡액을 당하였네…너를 생각하는 이때 더욱 슬프고 더욱 보고 싶구나." 기록을 통해 먼저 세상을 떠난 고양이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이 느껴진다.



조선 17대 왕 효종(孝宗, 재위 1649∼1659)의 셋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는 혼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만 끼고 돌았다고 한다.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일부에는 효종의 부정(父情)이 눈길을 끈다. "너는 시댁에 정성을 다한다고 하거니와 어찌 고양이는 품고 있느냐. 행여 감기에 걸렸거든 약이나 지어 먹어라." 혼인한지 얼마되지 않은 어린 딸이 눈치 없이 고양이만 끼고 도는 애묘가(愛猫家)였던 탓에, 시댁 눈 밖에 날까 염려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편지에 담겨있다.

조선 19대 왕 숙종(肅宗, 재위 1674-1720)은 조선시대 이래 제일가는 애묘가이며, 고양이 이야기에선 빠지지 않는 인물이다. 조선후기 학자 김시민(金時敏, 1681-1747)의 『동포집(東圃集)』에 쓰인 ?금묘가(金猫歌)?에 따르면, 숙종은 부친의 묘소에서 우연히 발견해 궁으로 데리고 온 고양이를 '금손(金孫)'이라 부르고 항상 곁에 뒀다고 한다. 숙종은 수라상에 올라간 고기를 남겨 두었다가 주는가 하면, 잠자리에 들 때에도 곁에서 자도록 허락했다. 엄격한 분위기의 조선 왕실도 반려동물에 대한 애정은 숨길 수 없었던 것이다. 숙종은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1720년 7월 12일에 승하하였다. "임금 돌아가신 소식이 다다르자 금묘가 먹지 않고 사흘 동안 통곡하니…울음소리 너무 슬퍼 차마 못 듣겠어라 보는 이마다 눈물로 옷깃을 적시었네. 스무날을 통곡하다 기어이 죽고 마니 앙상하게 야윈 몸이 더욱 참담했어라. 비단으로 머리 감싸 상여로 묻어주니 묻힌 곳이 명릉에서 바로 지척이라오." 금손은 왕을 뒤따르듯 20일 만에 죽은 금손은 숙종의 무덤[명릉] 근처에 묻혔다.

1
(그림 1) 변상벽, <묘작도(猫雀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선조들의 고양이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영조연간(英祖, 재위 1724-1776)에 활동한 화가 변상벽(卞相璧, 1730-?)은 고양이 그림으로 유명세를 떨쳤다. (그림 1, 2). 『진휘속고(震彙續攷)』에 따르면 워낙 고양이를 잘 묘사하여, 변고양이(卞猫), 변닭(卞鷄)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고양이는 한자어인 '묘(猫)'와 70세 노인을 뜻하는 '모(?)'의 중국어 발음이 같았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고양이가 장수(長壽)를 상징했다. 선조들은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고양이 그림을 선물을 하곤 했다.

2
(그림 2) 변상벽, <국정추묘도(菊庭秋猫圖)>, 간송미술관 소장
조선 시대에도 지금의 캣맘과 같은 의미의 묘마마가 있었던 만큼, 현대 못지않게 애묘가들이 많았다. 기록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옛 시대에도 고양이를 싫어하는 자들도 공존했을 것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캣맘 사건이 메스컴에 나올 때마다 찬반의견이 나뉜다. 캣맘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으로는 고양이에게 밥만 주는게 아니라 타인의 사유지와 주거지에 급식소를 무단으로 설치 및 훼손하고 협박문을 남기는 등 여러 이유에서이다.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면서까지 행동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사람들은 따스한 마음을 가진 사람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본인이 선의로 했던 행동일지라도 타인에게는 피해가 되는 경우에는 자제하는 것이 옳다. 여러 지역에서는 이 상황을 중재하기 위해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안 외에도 인간과 고양이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길고양이를 돌보는 캣맘들의 도덕적인 행동이 바탕되어야 한다. 나아가 캣맘에 대한 무분별한 비판과 혐오도 자제된다면 공존할 수 있는 시발점이 마련될 것이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