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신문] 24절기(節氣)에 대하여

  • 사람들
  • 실버라이프

[노인신문] 24절기(節氣)에 대하여

  • 승인 2024-10-25 09:12
  • 신문게재 2024-10-25 11면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55
'24절기(節氣)는 음력 속의 양력입니다.'

24절기는 계절을 세분한 것으로,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절기는 태양의 하늘의 위치, 즉 황도 위치를 나타내는 황경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24절기의 날짜는 해마다 양력으로는 거의 같게 되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달을 중심으로 하는 음력을 사용하면서도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24절기를 두어 사계절을 구분하고 농사에 적절한 절기를 알려 주는 지혜가 있었습니다.

24절기는 음력을 사용하던 시절, 음력달력 속에 들어있는 양력입니다. 음력은 4년마다 한 달의 윤달이 있기에 같은 날이라도 윤년 때마다 한 달 차이가 나지만. 양력은 4년 마다 하루의 윤일이 있어서 윤년이라도 하루의 차이 박에 나지 않습니다.



24절기는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로 정해지고, 차이가 나도 하루 박에 나지 않습니다.

그러니 24절기는 음력달력 속에 들어있는 양력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계절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알기 위해 '24절기(節氣)'를 사용했습니다.

5
▲'24절기(節氣) 전체 보기'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겨울을 의미하는 입동(立冬)'

'입동(立冬)'은 24절기 중 19번째 날로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절기로 2024년의 '입동'은 11월 7일이며 '입동(立冬)'이라는 말은 '겨울(冬)이 들어서다(立)'라는 뜻입니다.

이즈음 단풍도 저물고 낙엽이 떨어지면서 나무들이 헐벗기 시작힙니다. 예전에는 '입동' 무렵에 수확한 배추와 무로 김장을 담그곤 했는데, 점차 김장철이 늦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농가에서는 입동 전후하여 한 해 농사에 힘쓴 소와 외양간, 곳간에 고사를 지내기도 했는데,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고 소에게도 고사 음식을 먹였으며 이웃간에 정을 나누었습니다. 전래하는 미풍양속에는 '입동'에 어른들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하는 치계미(雉鷄米)라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양로잔치였는데, '치계미'라는 말은 꿩, 닭, 쌀을 뜻하며 마을을 다스리는 사또를 대접하기 위해 꿩이나 닭, 쌀을 추렴하여 거두는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른들을 사또와 같이 대접한다는 효도의 뜻이 담긴 풍속이었습니다.

'입동' 무렵의 별미로는 추어탕이 있는데, 추수가 끝난 논 도랑에서 겨울잠을 위해 땅속에 파고들어간 미꾸라지를 잡아 끓인 것으로, 치계미를 낼 만한 사정이 아닌 집에서는 추어탕을 끓여 대접하기도 했습니다.

'입동(立冬)'은 1년 24절기 중 19번째 절기로, 이후로 11월엔 소설. 12월엔 대설. 동지. 1월엔 소한. 대한, 으로 이어져서 일년 24절기(節氣)는 끝이 납니다.

'입동(立冬)'은 겨울 절기의 시작으로 동면하는 동물들은 땅속에 굴을 파고 숨어듭니다. '입동(立冬)'날 추우면 그해 겨울은 몹시 춥다고 합니다. '입동(立冬)'과 관련된 속담으로는 '입동(立冬)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라는 말로 음식 중 제일 중요한 것이 김장이었습니다.

'입동'절기에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준비를 하는 시기였습니다. 자연의 순환 속에서 이에 맞춰 생활 방식도 비꾸었습니다.

겨울철에 먹을 음식을 준비하고 겨울 날 준비를 합니다. ~샬롬~

이갑선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2.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3.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1. 대전경찰, 보이스피싱에 속은 20대 9000만 원 송금 막아
  2. PBS 폐지 넘어 과제 산적… 기관장 선임 절차 개선 목소리
  3.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4.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5.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