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파고 돌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 흔적 선연…정성 깃든 샘에 화장실터도

굴파고 돌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 흔적 선연…정성 깃든 샘에 화장실터도

서구 도솔산 월평공원서 일제 금과 은 채굴
정성들인 샘과 웅덩이 채석 끝지점에 일치
골짜기 따라 평탄지 100m, 화장실 추정도

  • 승인 2024-11-05 17:29
  • 수정 2024-11-05 17:51
  • 신문게재 2024-11-06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0939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 인근에 누군가 만든 지하수 샘터. 조선인 근로자들이 목을 적시는 시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임병안 기자)
<속보>=대전 도솔산 월평공원에 일제강점기 금과 은을 채굴한 수탈의 상처뿐 아니라 당시 동원돼 굴을 파고 돌을 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의 손때 묻은 흔적도 여럿 발견돼 주목되고 있다. 바위 밑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을 정성껏 가꾼 샘터와 그 아래 잘 조성된 웅덩이 모두 동원 근로자들의 휴게 시설이었을 것으로 보이고, 화장실로 쓰였음 직한 자리도 발견되고 있다. <중도일보 11월 5일자 1면 보도>

5일 다시 찾은 대전 서구 월평동의 갑천습지에서 산책길을 따라 10분 걸으면 누군가 정성을 들여 만든 샘터를 만나게 된다. 바위 밑에서 샘솟는 물이 한동안 머물 수 있도록 길게 홈을 파 물길을 냈고, 작은 홈에는 두 바가지쯤 퍼서 마실 수 있는 정도의 물이 항상 고여 있다. 작은 구멍에서 바닥에 떨어진 물은 졸졸 흘러 작은 웅덩이로 모이는데 이곳은 도롱뇽과 개구리, 여러 수서생물을 관찰할 수 있어 지금도 유치원에서 자연학습장으로 여겨 찾아오고 있다. 산이 깊어 등산객들이 목이 타는 장소도 아니고 주변에 마을도 없는 곳에 정성을 들여 샘터와 웅덩이를 누가 만들었는지 기록이나 증언은 없다.

KakaoTalk_20241105_152439098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에서 발견된 계곡물을 가두는 돌보시설물. (사진=임병안 기자)
다만, 이 지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제련(주)가 조선인 근로자들을 동원해 바위를 깎아 금과 은을 채굴한 장소의 마지막 지점에 정확히 교차하고 있다. 10m 상류에는 지표면에 노출된 바위를 수직으로 깎아낸 흔적이 역력한데 지금은 1m쯤 높이로 보이나 오랜 시간 바닥에 흙과 낙엽이 쌓여 대부분 덮인 것으로 금과 은의 채석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순으로 채석장이 가장 위에 있고 그 아래 넓은 평탄지 그리고 샘터와 웅덩이 순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가장 아래에 갑천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이곳 평탄지에서는 잘 다듬은 장대 나무 여러 개가 바닥에 썩어가고 있어, 캐낸 암석을 이곳에 모아 분류하고 정으로 쪼개는 작업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보였다. 평탄지 끝 지점에 사람 키 높이 정도로 둔덕이 있는데, 삽으로 낙엽을 걷어내면 잔돌의 폐석들이 쌓여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랫동안 이곳에 누군가 폐석을 쌓았다는 의미다.

IMG_0969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 끝지점의 평탄지에 잘 다듬어진 장대가 여럿 관찰돼 시설물이 있던 자리로 추정된다.(사진=임병안 기자)
더욱이 뒤쪽은 언덕으로 가려지고 앞으로는 웅덩이에서 흘러내린 물이 졸졸 흐르는 지점에 움푹 팬 지형이 관찰되는데 화장실 터로 짐작된다. 부산시 가덕도에 일제가 구축한 옛 외양포 포진지에서도 가장 낮은 곳에서 허드렛물로 손을 씻을 수 있는 지점에 화장실을 구축한 바 있는데, 이곳도 유사하게 보였다.



이곳에서 고개를 하나 너머 동굴형 갱도의 입구이자 수직갱도에서도 가까운 골짜기에서는 계곡을 따라서 바닥을 평평하게 닦은 흔적이 100m쯤 이어지는데, 천막의 형태로 휴식을 취하기 알맞은 환경이다. 돌담을 쌓아 골짜기 물을 가두는 보 시설물이 이곳에서만 유독 3곳에서 발견되고, 수직갱도의 정수리 위치에 바위에 눈과 코, 입 모양을 새긴 형상도 관찰되고 있다.
/임병안 기자

KakaoTalk_20241105_152552760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은 수탈의 수직갱도 정수리 위치 바위에 사람 얼굴 형상이 새겨져 있다.(사진=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2.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3.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4.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5.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1. [대입+]] 2026 수시 충청권 의대 지원자 46% 감소… 역대 최저치
  2. 박재형 세종충남대병원장 취임 "더 큰 도약"
  3. 일본 찾은 김진동 세종상의회장… 한-일 경제계 협력의지 다져
  4. 대전 학교폭력 4년 연속 늘어… 2025년 1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5. 밝은누리안과병원 이성준 원장, 유럽 백내장굴절수술학회서 임상 연구 발표

헤드라인 뉴스


제4인뱅 인가 무산에 충청 지방은행 설립 `꿈` 뭉개져

제4인뱅 인가 무산에 충청 지방은행 설립 '꿈' 뭉개져

충청권의 오랜 숙원인 지방은행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인가를 받지 못하면서 충청권 기반 금융 생태계 조성에 기대를 품었던 지역민들의 박탈감을 높였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정례회의를 열고 소소뱅크, 소호은행, 포도뱅크, AMZ뱅크 등 4곳의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불허했다. 제4인터넷은행으로 유력하게 거론된 한국소호은행(KSB)은 대전시와 협약을 맺고 대전에 본사를 두고, 지역 특화 사업 발굴 및 정책자금 연계를 통해 지역 금융 정착을 도울 계획이었지만, 결국 정부 인가를 받지 못..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새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RISE 재구조화, AI 인공지능 활용 등 교육 분야 주요 국정과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학문별 대가로 선정된 교수에 대한 정년 제한을 풀고, 최고 수준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 학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교육부는 6대 국정과제를 위한 25개 실천과제(공동주관 1개 국정과제, 3개 실천과제 포함)를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실현해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에 나선다. 학생 1인당 교육비를..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이재명 새 정부가 오는 12월 30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청사 개청식을 예고하면서,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를 위한 동반 플랜 마련을 요구받고 있다. 수년 간 인구 정체와 지역 경제 침체의 늪에 빠진 세종시에 전환점을 가져오고, 정부부처 업무 효율화와 국가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한 후속 대책이 중요해졌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에 따른 산술적 대응은 당장 성평등가족부(280여 명)와 법무부(787명)의 세종시 이전으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 셈법으로 빠져 나가는 공직자를 비슷한 규모로 채워주는 방법이다. 지난 2월 민주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