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파고 돌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 흔적 선연…정성 깃든 샘에 화장실터도

굴파고 돌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 흔적 선연…정성 깃든 샘에 화장실터도

서구 도솔산 월평공원서 일제 금과 은 채굴
정성들인 샘과 웅덩이 채석 끝지점에 일치
골짜기 따라 평탄지 100m, 화장실 추정도

  • 승인 2024-11-05 17:29
  • 수정 2024-11-05 17:51
  • 신문게재 2024-11-06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0939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 인근에 누군가 만든 지하수 샘터. 조선인 근로자들이 목을 적시는 시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임병안 기자)
<속보>=대전 도솔산 월평공원에 일제강점기 금과 은을 채굴한 수탈의 상처뿐 아니라 당시 동원돼 굴을 파고 돌을 날랐을 조선인 근로자들의 손때 묻은 흔적도 여럿 발견돼 주목되고 있다. 바위 밑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을 정성껏 가꾼 샘터와 그 아래 잘 조성된 웅덩이 모두 동원 근로자들의 휴게 시설이었을 것으로 보이고, 화장실로 쓰였음 직한 자리도 발견되고 있다. <중도일보 11월 5일자 1면 보도>

5일 다시 찾은 대전 서구 월평동의 갑천습지에서 산책길을 따라 10분 걸으면 누군가 정성을 들여 만든 샘터를 만나게 된다. 바위 밑에서 샘솟는 물이 한동안 머물 수 있도록 길게 홈을 파 물길을 냈고, 작은 홈에는 두 바가지쯤 퍼서 마실 수 있는 정도의 물이 항상 고여 있다. 작은 구멍에서 바닥에 떨어진 물은 졸졸 흘러 작은 웅덩이로 모이는데 이곳은 도롱뇽과 개구리, 여러 수서생물을 관찰할 수 있어 지금도 유치원에서 자연학습장으로 여겨 찾아오고 있다. 산이 깊어 등산객들이 목이 타는 장소도 아니고 주변에 마을도 없는 곳에 정성을 들여 샘터와 웅덩이를 누가 만들었는지 기록이나 증언은 없다.



KakaoTalk_20241105_152439098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에서 발견된 계곡물을 가두는 돌보시설물. (사진=임병안 기자)
다만, 이 지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제련(주)가 조선인 근로자들을 동원해 바위를 깎아 금과 은을 채굴한 장소의 마지막 지점에 정확히 교차하고 있다. 10m 상류에는 지표면에 노출된 바위를 수직으로 깎아낸 흔적이 역력한데 지금은 1m쯤 높이로 보이나 오랜 시간 바닥에 흙과 낙엽이 쌓여 대부분 덮인 것으로 금과 은의 채석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순으로 채석장이 가장 위에 있고 그 아래 넓은 평탄지 그리고 샘터와 웅덩이 순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가장 아래에 갑천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이곳 평탄지에서는 잘 다듬은 장대 나무 여러 개가 바닥에 썩어가고 있어, 캐낸 암석을 이곳에 모아 분류하고 정으로 쪼개는 작업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보였다. 평탄지 끝 지점에 사람 키 높이 정도로 둔덕이 있는데, 삽으로 낙엽을 걷어내면 잔돌의 폐석들이 쌓여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랫동안 이곳에 누군가 폐석을 쌓았다는 의미다.

IMG_0969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 채굴현장 끝지점의 평탄지에 잘 다듬어진 장대가 여럿 관찰돼 시설물이 있던 자리로 추정된다.(사진=임병안 기자)
더욱이 뒤쪽은 언덕으로 가려지고 앞으로는 웅덩이에서 흘러내린 물이 졸졸 흐르는 지점에 움푹 팬 지형이 관찰되는데 화장실 터로 짐작된다. 부산시 가덕도에 일제가 구축한 옛 외양포 포진지에서도 가장 낮은 곳에서 허드렛물로 손을 씻을 수 있는 지점에 화장실을 구축한 바 있는데, 이곳도 유사하게 보였다.



이곳에서 고개를 하나 너머 동굴형 갱도의 입구이자 수직갱도에서도 가까운 골짜기에서는 계곡을 따라서 바닥을 평평하게 닦은 흔적이 100m쯤 이어지는데, 천막의 형태로 휴식을 취하기 알맞은 환경이다. 돌담을 쌓아 골짜기 물을 가두는 보 시설물이 이곳에서만 유독 3곳에서 발견되고, 수직갱도의 정수리 위치에 바위에 눈과 코, 입 모양을 새긴 형상도 관찰되고 있다.
/임병안 기자

KakaoTalk_20241105_152552760
대전 월평공원 일제강점기 금은 수탈의 수직갱도 정수리 위치 바위에 사람 얼굴 형상이 새겨져 있다.(사진=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충북·제주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 서울 19주 만에 하락
  1.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2.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3.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