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특화 '문화관광 축제' 전무...다른 도시와 격차 뚜렷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특화 '문화관광 축제' 전무...다른 도시와 격차 뚜렷

문광부 분석, 지역 주요 축제는 4개 불과...경기도 144개, 경남 135개
문광부 '문화관광 축제' 이름엔 4년째 이름 못 올려...세종축제 한계 뚜렷
전국적으로 '지방소멸' 위기 극복, 민관정 절실한 대응과 대조

  • 승인 2024-11-12 10:43
  • 수정 2024-11-12 10:48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4101401000855900034632 (1)
세종축제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은 한글에 있을까. 사진은 2024년 세종축제 현장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세종특별자치시는 언제쯤 도시 정체성에 기반한 특화 축제로 국내·외 방문객을 제 발로 찾아오게 할까. 다른 지역 축제들만 살펴봐도, 세종시가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지역 민관정의 보다 절실한 움직임이 분명한 숙제로 다가온다.

당장 2024년 10~11월 사이 열려 흥행에 성공한 대전의 빵 축제(4회)와 강원도 원주의 만두축제(2회), 경북 김천의 김밥 축제(1회), 구미의 라면 축제(3회)는 한번 쯤 고민해볼 지점을 찾게 한다. 모두 음식을 소재로 하고, 코로나19 시기를 보내며, 서서히 대중의 관심을 얻는 데 성공했다는 공통점을 안고 있다.

대전은 성심당, 원주는 목민심서에 등장한 지역 음식, 김천은 김밥천국이란 브랜드에서 착안한 아이디어, 구미는 농심 라면 공장을 토대로 이들 행사를 성공 축제의 반열에 올려놨다.

현장을 다녀온 이들의 보완 요구사항도 있으나 수도권의 초집중·과밀에 맞서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활력 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기제임은 분명하다. 결국 성공의 원동력은 아이디어와 도시 브랜드 및 정체성 찾기에서 비롯하고, 여기에 지역 민관정의 절실한 노력이 보태졌다.



11월 12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자료를 보면, 세종시의 현주소는 더욱 여실히 드러난다. 주민과 지역 단체, 지방정부가 공동 또는 단독으로 개최해 외부의 불특정 다수인이 2일 이상 참여하는 축제 면면에 세종시를 찾기 힘들었다.

실제 문화관광 축제와 특산물 축제, 문화예술제, 일반축제에다 국가 지원 축제를 포함한 주요 축제는 전의 조경수 묘목 축제(제17회, 3월), 조치원 봄꽃 축제(4~5월), 조치원 복숭아 축제(7~8월), 세종축제(10월)가 전부로 확인됐다. 가요제와 기념식, 연극제, 경연대회 등 특정 계층 참여 행사나 음악회 또는 전시회 등 순수 예술행사, 학술행사, 국제회의, 엑스포, 패션쇼 등을 제외한 수치다.

이에 반해 경기도는 이 같은 유형의 축제를 144개나 보유하고 있고, 경남(135개)과 전남(121개), 강원(117개), 충남(106개)이 100개 이상, 전북(87개)과 경북(86개), 서울(77개), 부산(55개)이 50개 이상을 선보이고 있다. 이어 제주(49개)와 인천(40개), 충북(39개), 울산(36개), 대구(33개), 광주(21개), 대전(20개)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2020년~2023년까지 4년 간 서울·광주·대전과 함께 단 1건의 문화관광 축제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세종축제만 예비 축제로 계속 머물러 있다. 세종축제의 후발 주자라 할 수 있는 '연날리기 축제(2월)', '낙화축제(5월)', '빛 축제(12월)' 등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 사이 부산은 광안리 어방축제, 대구는 치맥 페스티벌 등 모두 2건, 인천은 펜타포트 음악 축제, 울산은 옹기 축제, 경기는 수원 화성 문화제 등 모두 5건, 강원은 강릉 커피 축제 및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 등 모두 7건, 충북은 음성 품바 축제, 충남은 서산 해미읍성 역사체험 축제 등 모두 2건, 전북은 순창 장류 축제 등 모두 3건, 전남은 보성 다항 대축제 등 모두 3건, 경북은 포항 불빛 축제 등 모두 3건, 경남은 밀양 아리랑 대축제 등 모두 2건, 제주는 들불축제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24~2025년에도 세종은 서울과 제주, 대전과 함께 유일하게 문화관광 축제를 선보이지 못했다.

제목 없음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8월 공표한 자료,사진=문체부 제공.
호응도 면에서도 세종축제는 12년 간 주민 화합형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지역개발을 견인하는 역할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불러들인 방문객은 각각 20만 명 수준에 머물렀다. 이 안의 구성이 내·외부인지도 공표되지 않았다.

2023년 기준 각 지역별 최다 집객 축제를 보면, ▲강원도 : 1월 화천 산천어축제(예산 29억 원, 방문객 131만 5476명), 6월 강릉 단오제(62만 명, 22억여 원) ▲경기도 : 10월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20억여 원, 55만 명) ▲경남 : 3월 진해 군항제(15억여 원, 417만여 명) ▲경북 : 9월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20억 원, 88만여 명) ▲광주 : 10월 동구 추억의 충장축제 및 버스킹 월드컵(33억 원, 119만여 명) ▲대구 : 5월 파워풀 페스티벌(18억 원, 61만 명) ▲대전 : 8월 0시 축제(33억여 원, 109만여 명) ▲부산 : 12월 해운대 빛 축제(378만여 명) ▲충북 : 10월 청원 생명 축제(27억여 원, 62만여 명) ▲충남 : 공주와 부여의 9월 백제문화제(55억 원, 343만 명) ▲전남 : 3월 광양 매화축제(11억여 원, 122만여 명) ▲인천 : 4월 대공원 벚꽃 축졔(2억 원, 53만여 명) ▲울산 : 10월 공업축제(21억 원, 70만 명) ▲서울 중랑구 장미축제(4억 원, 260만 명) 등이 대표적이다

꽃 또는 정원 관련 축제인 강원도의 5월 장미 축제(4억 원, 33만 명), 경기도의 10월 중순 포천 산정호수 명성산 억새꽃 축제(2억 원, 42만여 명), 10월 구리 코스모스 축제(3억 원, 30만 명), 경남의 10월 마산 국화 축제(10억 원, 69만여 명), 청주의 3월 벚꽃 푸드트럭 축제(1억여 원, 45만 명), 전북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14억여 원, 72만 명), 전남의 10월 황룡강 가을 꽃 축제(5억 원, 75만여 명), 5월 담양 대나무 축제(7.5억 원, 63만 명), 3월 여의도 봄꽃축제(약 6억 원, 210만 명)에 많은 이들이 찾았다.

빛 관련 축제인 경기도의 9~10월 수원 화성 미디어아트(16억여 원, 48만여 명), 경남도 진주 남강 유등축제(39억여 원, 126만 명), 경북의 5월 말 포항 국제 불빛축제(18억여 원, 30만 명), 대전의 3~5월 대덕물빛 축제(6.6억 원, 63만 명), 부산의 11월 불꽃축제(30억 원, 77만 명), 전북의 8월 말 무주 반딧불 축제(25억 원, 42만 명), 서울의 12월 말 라이트 광화문(36억여 원, 189만여 명)에도 많은 인파가 몰렸다.

세종축제와 비슷하거나 적은 예산의 축제와 비교해봐도, △원주 : 10월 댄싱카니발(예산 11억여 원, 41만 명) △경기도 여주 도자기 축졔(10억 원, 45만여 명) △문경 사과 축제(6.7억 원, 46만 명), 예산 장터 삼국축제(6.6억여 원, 41만여 명) 등은 시사하는 바가 적잖다.

2024년 국제정원도시박람회와 빛 축제 예산 삭감 논란에 직면해 있는 세종시. 시민사회는 이 같은 상황이 상처와 소모적 논란으로만 남지 않고, 2030년 도시 완성기까지 새로운 미래를 찾는 진통의 과정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가 추진 중인 축제가 내실 있게 준비되고 있는 지, 지역 정체성을 찾아 중장기 비전과 밑그림 아래 진행 중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며 "지역 정치권도 정파와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 바람직한 대안을 함께 찾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2024091301001078300042851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조감도. 사진 좌측이 호수공원, 가운데가 중앙공원, 우측이 이응다리와 금강. 사진=세종시 의뢰 용역 갈무리.
2024051301000902200037349
낙화 축제의 화려한 단면. 사진=서영석 사진작가(한글빵 대표).
2024090101000043700000811
2023년 12월 31일 자정 카운트다운 불꽃놀이로 한해를 마무리한 빛축제. 사진=중도일보 DB.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2.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3. 지질자원연 창립 77주년, 새 슬로건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
  4.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5. 특구재단 16~17일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투자주간'
  1. 대전권 4년제 수시 경쟁률 상승… 한밭대·우송대 선전
  2. [홍석환의 3분 경영] 무능한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3. 폭우에 도로 잠기고 나무 쓰러져…당진서 알레르기 환자 긴급 이송
  4. 9월 무더위 계속…16일 충남 서해안 강우
  5.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헤드라인 뉴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이재명 새 정부가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사이에서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찬반 양측 모두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미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전 정부부터 반복되는 악순환이다. 실제 노무현 정부 당시에는 행복도시 내 '금강 친수보' 건립으로 추진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선 주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철거'란 상호 배치된 흐름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보'와 태생이 다르나 같은 성격으로 분류되면서다. 지방정부 역시 중립적이고 실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환경부가 밀어부치기식 정책 추진을 할..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건설 승인을 받지 않고 주택 통계에도 포함되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전국적으로 8만787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주택법을 피하면서 주민 복리시설이나 소방시설 등 엄격한 규제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데다, 정부의 주택통계 작성과정에서도 빠져 부실한 관리를 초래해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국토교통부로 받은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개인·법인 가동사업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모두 8만7876개의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신..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가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최대 900억원을 투입해 과일·한우 등 선물 세트를 최대 50% 할인하며, 전국에 2700여 곳의 직거래장터를 개설한다.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톤, 축산물 10만 8000톤, 수산물 1만 4000톤 등 17만 2000톤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