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그대로 혼돈 그 차체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침묵으로 일관하며 사실상 셧다운 상태이고, 국민의힘은 시국 수습대책을 놓고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비상계엄 관련자에 대한 탄핵과 고소·고발은 물론 상설특검 등으로 강하게 압박하면서 탄핵 정국이 나라를 뒤덮고 있다.
우선 윤 대통령은 12월 7일 대통령실에서 생중계된 2분여의 대국민 담화 이후 대통령실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관저에서 칩거 중으로 알려졌다. 비서실장을 비롯한 주요 참모진은 일괄 사의를 표명한 후 대통령실에서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 중이다.
9일 대통령실에서 예정했던 한덕수 총리와 주례 회동은 일찌감치 취소됐고, 대통령이 주재하는 내부 수석비서관회의도 열리지 않았다.
하루에도 몇 차례 열던 현안 브리핑 등도 끊기고 기자실 근처에서 직원들을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다. 출근은 하지만, 사무실에서 사태 추이를 지켜보는 등 뒤숭숭한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법무부가 이날 윤 대통령의 출국을 금지하는 등 내란죄 혐의를 비롯한 여러 의혹 수사라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윤 대통령의 탄핵을 무산시킨 후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친윤과 친한계는 사사건건 다른 목소리를 내며 갈등하고 원외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이 해법이라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4선 이상 중진의원들이 이날 오전 국회에서 회동했지만, 추경호 원내대표에 대한 재신임에 뜻을 모은 것 외 다른 부분에 대해선 별다른 전언이 없다. 뒤이어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시국에 대한 수습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한동훈 대표가 총리 중심의 국정 운영 방침을 세웠지만, 한 대표가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는 얘기도 적지 않다. 송파병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교수는 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이 싼 똥을 한동훈 대표 보고 치우라고 한다. 저는 탄핵 찬성, 탄핵 가결"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을 비롯해 야당은 탄핵을 위한 단일대오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12월 11일 2차 탄핵소추안을 발의해 14일에는 임시회를 열어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민주당은 이날 내란 특검법과 네 번째 김건희 특검법을 제출했다. 내란 특검법 수사 대상은 12·3 내란 행위 일체 의혹으로 규정했고, 김건희 특검법은 공천 개입 의혹을 포함해 15가지를 총망라해 더 강해진 특검법을 발의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대상이 아닌 상설 특검 가동도 벼르고 있다. 상설 특검은 10일 본회의에서, 일반 특검은 12일 본회의에서 각각 처리할 예정이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